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정부 “꿀벌 실종 사태는 해충 탓”…집중 방제·피해농가 지원

등록 2023-02-22 11:00수정 2023-02-22 22:14

농식품부, ‘꿀벌 피해 대책’ 발표
“올해 동절기 양봉농가 피해 적어”
꿀벌 실종 사태 주범으론 해충 지목
양봉 기술을 배우는 농민들. 충남 당진시 제공
양봉 기술을 배우는 농민들. 충남 당진시 제공

정부가 최근 양봉 농가가 겪는 ‘꿀벌 실종 사태’가 해충 탓이라고 보고 방제 강화, 피해 농가 지원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1일 이런 내용의 꿀벌 피해 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펴낸 피해 저감 정책의 후속 조처다. 꿀벌 실종 사태란 최근 수년간 양봉 농가가 기르는 벌통 속 꿀벌 수십억 마리가 겨울을 지내며 감쪽같이 사라진 현상이다. 그 원인으로 기후 변화, 해충, 농약 등이 거론되지만, 정확한 이유는 판명되지 않았다.

농식품부는 우선 올해 동절기 양봉 농가의 피해 규모가 지난해 동절기에 견줘 양호한 수준이라고 추정했다. 지난해 겨울철엔 벌떼가 모인 전체 벌통(봉군)의 약 15%인 벌통 40만개가 피해를 보았지만, 올해는 이에 못 미친다는 것이다. 다만 정확한 피해 규모는 조사 중이다.

그러나 꿀벌이 월동에 들어가기 전인 지난해 9∼11월 사이 벌통 40만∼50만개가 꿀벌 수 급감 등 피해를 입었다고 추산했다. 이에 따라 전국 양봉 농가가 사육하는 꿀벌 벌통 수는 지난해 12월 기준 247만개로 1년 전(269만개)에 견줘 8% 남짓 감소했다.

농식품부는 동절기 전 피해 발생 원인으로 꿀벌의 천적인 흡혈 진드기 응애를 꼽았다. 플루발리네이트 등 특정 성분을 가진 방제제를 장기간 사용한 탓에 응애가 방제제에 내성이 생겼고 꿀벌들을 죽였다는 것이다. 김정욱 농식품부 축산정책관은 “농가들이 방제 적기인 7월에 꿀이나 로열젤리 등을 생산하기 위해 방제를 충분히 하지 않았고, 응애가 이미 확산된 이후에 방제를 과다하게 사용해 꿀벌의 면역력을 낮춘 점도 원인 중 하나”라고 말했다. 꿀벌은 자신의 체액을 빨아먹는 응애가 붙으면 다른 벌들에게 병이 번지지 않도록 벌집 밖으로 나와 죽는 습성이 있다.

정부는 피해가 작은 농가의 벌통을 키워 오는 4월 말까지 피해 농가에 벌통을 나눠주고, 이자율 연 2.5%인 농축산경영자금 대출 및 500억원 규모 지방자치단체 재원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 정부가 지원하는 방제제에 응애 내성 성분을 제외하고, 올해 6∼10월 응애 집중 방제를 추진하기로 했다. 매주 수요일을 집중 방제의 날로 정해 이행을 점검하고 병해충 예찰 주기도 기존 월 단위에서 주 단위로 늘린다.

또 지자체별 꿀벌질병신고센터를 운영하고, 양봉산업 법령을 개정해 양봉업 신규 등록 농가의 교육도 강화할 방침이다. 올해부터 기후 변화와 꿀벌 실종 사태의 상관관계 연구도 본격적으로 착수하기로 했다. 지구 온난화로 월동 중인 꿀벌이 벌통 밖으로 나왔다가 얼어 죽거나, 일찍 핀 꽃 탓에 벌떼가 먹이인 꿀을 충분히 따지 못해 꿀벌 실종이 벌어진다는 지적 때문이다. 농촌진흥청과 농림축산검역본부, 지자체, 한국양봉협회 등은 앞서 지난해 1∼2월 민관 합동 조사를 벌여 꿀벌 실종 사태의 원인으로 응애, 이상 기후 등을 지목한 바 있다.

다만 김 정책관은 “지난해 4∼8월 농가 추적 조사를 하고 전문가 의견을 들은 결과, (벌꿀 실종 사태의)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내성이 있는 응애 때문이라고 결론 내렸다”면서 “기후 변화의 영향이라면 모든 농가가 피해를 입어야 하지만, 일부 관리를 잘한 농가들의 경우 거의 피해를 입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했다.

꿀벌은 종자식물의 수술 화분을 암술머리로 옮기는 수분 역할을 하는 만큼, 꿀벌 급감이 식물을 비롯한 식량 위기를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김 정책관은 “한국의 꿀벌 사육 밀도는 1㎢(제곱킬로미터)당 벌통 21.8개로 일본의 34배, 미국의 80배인 세계 최고 수준”이라며 “생태계에선 나비와 야생벌 등에 의한 화분 매개 비중이 크기 때문에 꿀벌 개체 감소가 자연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박종오 기자 pjo2@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삼성전자 인사 쇄신은 없었다 1.

삼성전자 인사 쇄신은 없었다

과세 준비 미비하다고 가상자산 과세 2년 더 유예하자는 정부·여당 2.

과세 준비 미비하다고 가상자산 과세 2년 더 유예하자는 정부·여당

‘1년 400잔’ 커피값 새해에 또 오르나…원두 선물 가격 33% 폭등 3.

‘1년 400잔’ 커피값 새해에 또 오르나…원두 선물 가격 33% 폭등

삼성, 경영진단실 신설해 이재용 측근 배치…미전실 기능 부활? 4.

삼성, 경영진단실 신설해 이재용 측근 배치…미전실 기능 부활?

세종대 교수 4명,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선정 5.

세종대 교수 4명,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선정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