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서울 명동 거리에서 외국인 관광객들이 트렁크를 끌고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회복되던 소비가 다시 얼어붙을 조짐을 보이면서 정부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반도체 수출 부진 속에서 그나마 경제를 떠받치던 내수마저 흔들리면 한국 경제가 위기에 빠질 수 있어서다. 다만 소비 진작 대책이 고물가를 더 자극할 수 있어 대책을 신중하게 고르고 있는 모습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12일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소비가 둔화하기 시작하면서 소상공인 등의 어려움도 커지고 있기 때문에 국내 관광 등 상황이 나쁜 영역에 집중해서 정부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다”며 “아직 어느 수준으로, 어떤 지원을 할지 구체적으로 정해진 것은 없다”고 말했다.
민간소비는 지난해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회복세를 보였으나 고금리·고물가로 다시 위축되는 모습이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 지수는 지난 1월 전월보다 2.1% 줄면서 지난해 11월부터 3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대외 요인에 좌우되는 수출과 달리 내수는 상대적으로 정책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영역인 만큼 정부는 대책 마련에 부심하는 모양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지난 9일 기자간담회에서 “최근 수출이 반도체를 중심으로 굉장히 부진하고, 특히 중국의 경제활동 재개(리오프닝) 효과가 바로 나오지 않고 있다”며 “소비가 좀 더 활성화돼야 하는 것 아니냐는 문제 제기가 있고, 용산(대통령실)에서도 그런 문제 의식을 함께하고 있어서 (대책 마련) 작업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현재 경제 정책의 최우선 순위가 ‘물가 안정’인 만큼 물가를 자극하지 않는 선에서 소비 촉진 대책을 모색하겠다는 입장이다. 정부 안팎에서는 여행·숙박 등 관광산업 관련 소비쿠폰 발행, 온누리 상품권 특별판매, 코리아세일페스타 등 소비 진작 행사 개최 등 익숙한 대책들이 거론되기도 한다. 하지만 기재부는 코로나19 때 발행한 소비쿠폰처럼 재정을 직접 투입하는 방식에는 회의적인 분위기로, 다른 방식이 있을지 살펴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추 부총리도 추가경정예산안 편성 등 추가적인 예산 투입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수차례 밝힌 바 있다.
이지혜 기자
godo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