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홍 가덕도신공항 건립추진단장이 14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국토교통부에서 열린 가덕도신공항 기본계획 용역 중간보고회에서 세부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왼쪽부터 정문경 한국지반공학회장, 최연철 한서대 교수, 박지홍 단장. 연합뉴스
부산 가덕도 신공항이 일부 시설은 가덕도 위에 건설되고 일부는 바다를 매립한 땅 위에 지어진다. 정부는 지난해 공항 전체를 매립지에 짓는 완전 해상공항안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지만, 2030년 세계박람회(엑스포)를 부산에 유치하려면 공사기간을 대폭 단축해야 한다는 요구에 따라 1년 만에 계획을 바꿨다. 바뀐 안은 과거에도 검토됐지만 불균등한 지반 침하(부등침하) 우려 등이 제기돼 밀려난 것으로, 경제성과 환경성도 기존안보다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교통부는 1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가덕도 신공항 기본계획 용역 중간보고회 검토안을 공개했다. 이를 보면 정부는 가덕도 신공항을 육상과 해상에 걸쳐 배치하고, 해상 부분은 매립식 공법으로 지어 2029년 말 개항할 계획이다. 지난해 4월 발표된 사전타당성조사 결과인 매립식 해상공항안을 수정해, 공항 일부는 육지 위로 올려 매립 면적을 줄이기로 한 것이다. 이는 완전 해상공항안은 개항 시점이 2035년 6월로 너무 늦다는 부산시 등의 요구가 받아들여진 결과다.
다만 부산시가 공사기간 단축을 위해 제안했던 ‘부유식’ 공법은 채택되지 않았다. 활주로 등 시설 일부를 바다 위에 띄워 건설하는 부유식은 세계적으로 전례가 없어 실증연구가 필요한데다, 국제기구의 공항시설 기준 정립 등에도 적잖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봤기 때문이다.
바뀐 ‘육상+해상’안은 앞선 사전타당성 조사 과정에서도 검토된 바 있지만, 안전상의 이유로 완전해상안보다 후순위로 밀려났던 안이다. 당시엔 공항 시설이 놓이는 가덕도 지반과 활주로가 놓이는 해상 매립 지반이 불균등하게 내려 앉는 부등침하가 발생할 수 있고, 섬 왼쪽에 가덕수로를 오가는 대형 컨테이너선과 공항을 오르고 내리는 비행기가 부딪칠 우려도 제기된 바 있다.
이에 대해 이날 국토부는 “전문가들과 추가적으로 연구·검토한 결과 20년 뒤 부등침하량이 국제기준 허용치보다 작아 항공기 운항 안전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봤다”며 “가덕수로 여유고(선박의 가장 윗단과 항공기 간 거리)도 100미터 이상 확보되어 해양수산부가 제시한 여유고를 충족한다”고 밝혔다.
논란이 됐던 경제성은 더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사전타당성 조사 결과 완전 해상공항의 비용 대비 편익(BC) 분석값은 0.51∼0.58이었고, ‘육상+해상’안은 0.45∼0.52로 더 낮았다. 두 안의 비용은 비슷한데 ‘육상+해상’안의 경우 해양 매립으로 생기는 부지 조성 편익이 대폭 줄기 때문이다. 또 ‘육상+해상’안은 공항 건설로 사라지게 되는 자연환경보전법상 생태·자연도 1∼2등급 권역이 더 넓어 환경 파괴도 더 심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최종적인 경제성·환경성 평가 결과를 기본계획 용역을 마치는 올해 8월 말 공개할 예정이다.
바뀐 안을 추진해 매립 면적을 줄이더라도 내년 1월 사업에 착수해 6년 만에 개항하는 것이 실제 가능하겠느냐는 지적도 나온다. 공항 부지 면적이 가덕도 신공항의 9분의 1인 울릉공항도 공사 기간을 5년(2020년 11월∼2025년 12월)으로 예상한다. 기본계획 수립용역 자문위원인 정문경 한국지반공학회 회장은 “엑스포 전 개항은 매우 도전적 과제”라고 말했다. 국토부는 보상 절차를 최대한 앞당기고 민간의 신기술·신공법을 적극 활용해 공사 기간을 단축하겠다고 밝혔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