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위변조대응센터에서 관계자가 5만원권 지폐들을 정리하는 모습. 연합뉴스
지난 2월 시중에 풀린 통화량(광의통화·M2)이 전달보다 늘었다. 투자수요가 회복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1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2월 통화 및 유동성 동향’을 보면 올해 2월 광의통화 평균잔액(계절조정)은 3819조5천억원으로 전달보다 0.3%(12조7천억원) 늘었다. 광의통화는 1월에 전달보다 0.1% 감소하면서 9년여 만에 처음으로 줄었지만, 한 달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상품별로는 주식·채권 등의 투자수요가 회복되면서 수익증권과 머니마켓펀드(MMF)가 각각 11조1천억원, 6조7천억원 늘어난 것이 주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수익증권 증가액은 펀드 열풍이 불었던 2007년 11월(13조1천억원) 이후 역대 두 번째로 컸다. 다만 은행 예금금리가 떨어지면서 정기예적금 증가 폭(6조8천억원)은 전달(24조8천억원)보다 대폭 줄었다.
경제주체별로는 가계·비영리단체가 17조1천억원 늘었고 보험사·증권사 등 기타금융기관도 수익증권과 머니마켓펀드 중심으로 3조8천억원 늘었다. 한은 관계자는 “2007년에는 주식형 펀드 광풍이 불며 가계 부문에서 수익증권이 큰 폭으로 늘었는데, 이번에는 가계와 기타금융기관 등이 골고루 늘었다. 이번에는 주식형보다는 채권형과 기타수익증권형이 더 많았다”고 설명했다.
현금통화·요구불예금·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만을 포함하는 협의통화(M1)은 1197조4천억원으로 전월 대비 2.9% 감소했다.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과 요구불예금이 각각 8조6천억원, 4조1천억원 줄었다. 협의통화는 지난해 6월 이후 9개월 연속으로 감소하고 있다. 광의통화에 2년 이상 장기금융상품 등까지 포함하는 금융기관유동성(Lf, 평잔)은 5173조5천억원으로 1월과 비슷한 수준이었고, 금융기관유동성에 국채·회사채 등을 더한 광의유동성(L, 말잔)은 6599조원으로 전달보다 0.4% 증가했다.
조해영 기자
hych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