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유전 발견되면 시세 2~3배 불러”
다시 다가온 오일쇼크 ②
최근 한국석유공사와 엘지상사가 개발한 카자흐스탄 서부의 아다광구는 전세계 에너지업계가 주목한 유전이다. 원유 매장량이 풍부하고 경제성도 높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로서는 중앙아시아에 최초의 유전개발이다. 보통 요즘 개발되는 유전은 지표에서 2∼3㎞ 아래에 원유가 매장되어 있는데 반해 이 곳은 500m만 들어가도 기름이 쿨쿨 솟구친다.
하지만 개발단계까지는 이런 성공을 거뒀지만 더 큰 난관이 놓여 있다. 중국을 통한 육로 송유관이나 배편으로 원유를 들여오는게 여의치 않아, 자칫 그림의 떡이 될 가능성이 있다. 국외 유전개발을 통한 석유자원 확보가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이다. 박복영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미 확보한 유전도 온전히 우리 것이 아닌 것이 대부분이다”라며 “자주개발을 통해 확보한 원유를 유사시 가지고 올 수 없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는 만큼 기존 유전들이 비상시 제기능을 할 수 있는지 다시 점검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자주개발률 중국 18%,한국 3.7%
현재의 고유가 상황은 산유국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1, 2차 오일쇼크 때에는 산유국들이 집단적으로 움직여 고유가를 야기했지만 지금은 비산유국들이 경쟁적으로 원유확보 경쟁에 나서 유가강세를 부추기고 있다. 세계 각국의 경쟁이 치열한 곳은 아프리카이다. 미국은 지난해 원유의 17%를 아프리카에서 들여왔다. 일본은 지난 5월 고이즈미 총리가 직접 자원외교를 위해 에티오피아와 가나를 방문했다. 중국은 150억달러를 아프리카의 석유개발에 투자하는 과정에서 원자바오 총리가 직접 나서기도 했다. 석유업계 관계자는 “중국의 원유확보 노력은 우리에게도 위협적”이라며 “괜찮은 유전이 발견되면 중국이 시세의 2~3배를 주겠다면서 공세적으로 나오면서 유전확보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이런 전세계적인 원유확보 경쟁에 맞서 2013년까지 국외 유전개발로 자주개발율을 18%로 높인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에 따라 2001년 3억달러대에 머물던 유전개발 투자비가 2002년에 4억달러, 2003년에는 5억달러를 넘어섰으며, 2005년에 9억5천만달러로 급증했다. 또 올해 목표는 30억달러이다. 하지만 이런 급증하는 투자도 미흡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이다. 원유가격이 오른 만큼 유전개발 비용도 계속 오르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자주개발율은 3.7%에 불과한 상황에서 더 과감한 투자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일본의 10%, 중국의 18%에 견주면 우리 자주개발률은 한참 모자라다.
중동의존도 81%…도입선 다변화를
이달석 에너지경제연구원 박사는 “자주개발률을 높이는 것은 비축유를 세계 곳곳에 두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원유 확보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만큼 경제성보다 안정성을 고려해 투자를 늘려가야 한다”고 말했다.
원유도입선 다변화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우리나라 원유수입의 중동의존도는 81%로, 중동정세가 불안해지면 석유수급도 불안해지는 구조이다. 2차 오일쇼크 이후 꾸준히 원유도입선 다변화를 추진해왔지만 별 진척이 없다. 최근 들어 세계각국의 원유확보 경쟁이 더 치열해지면서 중동을 제외한 곳에서 원유를 살만한 기회 자체가 줄어들고 있다. 도입선 다변화를 촉진하는 제도는 수입부과금 감면혜택 뿐이다. 석유업계 관계자는 “이런 인센티브로는 정유사들에게 수입선을 바꿀 이유가 없다. 위험부담이 있더라도 수송비 등을 감안하면 중동에서 들여오는 게 더 싸다”면서 “중동 이외의 지역에서 들여오면 과거처럼 추가수송비, 금융비용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민간참여가 다시 활성화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어영 기자 haha@hani.co.kr
원유도입선 다변화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우리나라 원유수입의 중동의존도는 81%로, 중동정세가 불안해지면 석유수급도 불안해지는 구조이다. 2차 오일쇼크 이후 꾸준히 원유도입선 다변화를 추진해왔지만 별 진척이 없다. 최근 들어 세계각국의 원유확보 경쟁이 더 치열해지면서 중동을 제외한 곳에서 원유를 살만한 기회 자체가 줄어들고 있다. 도입선 다변화를 촉진하는 제도는 수입부과금 감면혜택 뿐이다. 석유업계 관계자는 “이런 인센티브로는 정유사들에게 수입선을 바꿀 이유가 없다. 위험부담이 있더라도 수송비 등을 감안하면 중동에서 들여오는 게 더 싸다”면서 “중동 이외의 지역에서 들여오면 과거처럼 추가수송비, 금융비용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민간참여가 다시 활성화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어영 기자 haha@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