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들이 납품업체들로부터 대규모 인력을 차출해 사실상 공짜로 판매사원을 이용하고 있다. 사진은 한 대형마트 매장에서 제조업체 파견 직원들이 소비자들을 상대로 판매에 열을 올리고 있는 모습이다.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납품 직원 수만명 차출 대형할인점 ‘배짱 장사’
내수 유통망 장악 발판삼아 판매원 파견 반강제 요구
추가 인건비 소비자 부담으로 유통시장이 개방된 지 만 10년. 대형마트가 안방을 차지하면서 유통업은 빠르게 현대화하고 성장했다. 그렇지만 대형마트들은 재래시장을 벼랑에 내몬 데 그치지 않고 제조업체까지 옥죄고 있다. ‘유통권력’의 막강한 힘에 기대 인건비를 납품업체에 전가하거나 물건값을 후려친다. 납품업체를 역마진의 처지로 내몰기에 이른 유통권력의 문제점을 3차례로 나눠 싣는다. 편집자 주 두산식품사업부의 사무·생산직 인원은 315명이다. 하지만 대형마트에 차출되는 ‘노력봉사’ 인력은 500명에 이른다. 샘표식품 역시 본사 직원은 300여명이지만 대형마트에 동원되는 인력이 400여명이나 된다. 대형마트가 내수시장에서 ‘무소불위의 권력자’로 올라서면서 납품업체 직원들을 반강제적으로 징발해 노력봉사에 동원하는 일이 일상적으로 벌어지고 있다. 8일 <한겨레>가 대형마트의 주요 납품업체 12곳의 파견사원 운용 실태를 조사해 보니, 회사별로 160~2200여명씩 모두 9천여명에 이르는 파견사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회사당 평균 750여명으로, 납품업체들은 파견사원 대부분을 전국 대형마트 320여곳에 보내고 있다. 대형마트 하나에 200~300명의 파견사원이 일하는 점을 감안하면 대형마트에 차출되는 노력봉사 인력은 전국적으로 적게는 6만~7만명에서 많게는 10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한 납품업체 관계자는 “업체마다 사정이 다르지만 파견사원의 60~80% 이상이 마트의 요구에 따라 반강제적으로 동원되는 인력”이라며 “파견사원을 안 보내면 매장 퇴출을 각오해야 하는 탓에 제조업체들 사이에 사원 파견 경쟁이 조장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로써 납품업체들의 인건비 부담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파견사원 한 명에 연간 2천만원꼴로, 업체 12곳이 파견사원 운용으로 부담하는 비용만 한 해 1800억원에 이른다는 계산이 나온다.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