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종선 유암코 구조조정본부장
인터뷰 l 나종선 유암코 구조조정본부장
워크아웃은 신규 자금지원 어렵고
법정관리는 도덕적 해이 발생 우려
시장이 주도하면 신속한 회생 가능
워크아웃은 신규 자금지원 어렵고
법정관리는 도덕적 해이 발생 우려
시장이 주도하면 신속한 회생 가능
“그동안 부실기업 구조조정은 채권단이나 법원 주도 방식에만 의존했으나 시장 주도 구조조정이라는 새로운 수단을 잘 활용하면 보다 신속히 할 수 있고 기업 회생 가능성도 높일 수 있다.”
기업구조조정 전문기업인 유암코(연합자산관리)의 나종선 구조조정본부장은 한국 경제의 최대 현안인 부실 기업 구조조정과 관련해 기존과는 다른 ‘시장 친화적 구조조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나 본부장은 23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한국금융연구센터(소장 김상조 한성대 교수)가 ‘기업 구조조정, 이제는 시장이다’를 주제로 개최한 정책심포지엄에서 ‘시장친화적 기업구조조정 활성화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나 본부장은 기존의 부실 기업 회생은 채권단이 주도하는 기업구조조정촉진법상 워크아웃(채권단 자율협약 포함)과 법원이 주도하는 통합도산법상 기업회생(법정관리) 등 두 가지가 있으나, 각각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워크아웃은 외환위기 이후 기업들의 시장성 차입(회사채와 기업어음) 확대와 은행의 여신정책 변화로 채권단이 한목소리를 내기 어려워지면서 신규 자금 지원 등이 적절한 시점에 이뤄지기 힘들다. 법정관리도 신규 자금 지원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고 기존 경영자를 관리인으로 인정하는 제도로 인해 도덕적 해이가 발생할 수 있다.”
나 본부장은 “시장 주도 구조조정이 채권단과 법원 주도의 구조조정과 상호 보완적 기능을 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금융위원회도 이에 착안해 민간 기업구조조정 전문회사 설립안을 백지화하고, 지난해 10월 유암코에 구조조정 업무를 맡겼다. 유암코는 신한·우리 등 8개 은행이 출자한 부실채권 투자회사다. 나 본부장은 “지난해 11월 ‘유암코 기업구조조정 프로젝트’를 출범시켰다”며 “채권단으로부터 부실 기업 채권을 사들이고, 필요하다면 민간시장 자금을 포함해서 사모펀드를 조성해 정상화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해 신속히 구조조정을 하고, 경영이 정상화되면 새 주인에게 매각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유암코가 기존에는 부실기업 채권을 은행별로 사들인 반면 새 방식은 채권단 전체가 보유한 부실 채권을 일괄 매입하는 것이 차이점이다.
나 본부장은 “선박 크레인 제조업체인 오리엔탈정공을 1호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해 부실 채권을 사들였다. 2호 기업은 가격 협상을 끝내고 올해 안에 채권단 결의를 할 예정이고, 3호 기업은 가격 협상이 마무리 단계”라고 밝혔다. 구조조조정 대상 3개 기업의 채권 매입과 신규 자금 투입에 사용할 금액은 모두 3000억원이다. 나 본부장은 자본시장을 이용한 기업구조조정은 상시적이고, 미래지향적이며, 예방적인 기능이 있다고 강조한다. “기업의 비효율을 사전에 걷어내는 자본시장의 기능이 보다 잘 작동하면 지금처럼 많은 대기업이 동시다발적으로 부실화되는 일은 벌어지지 않을 것이다.”
곽정수 선임기자 jskwak@hani.co.kr
이슈구조조정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