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들은 국내 조선사들의 부실을 방치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사진은 26일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신청을 앞두고 있는 경남 창원 에스티엑스(STX)조선해양의 야드(작업장) 전경이다. 창원/연합뉴스
정부, 컨테이너 10척 건조…해운업계 ‘정상화’ 돕기로
3대 조선사들이 10조3천억원 규모의 자구안을 중심으로 구조조정을 실시한다. 또 정부는 해운업계를 지원하기 위해 컨테이너선 10척의 건조를 추진한다.
8일 정부가 발표한 해운·조선 구조조정 방안을 보면, 조선 3사 가운데 이날 검찰의 압수수색을 당한 대우조선해양의 경우 기존의 1조8500억원 외에 3조5천억원 규모의 추가 구조조정을 시행한다. 따라서 전체 구조조정 규모는 5조3천억원이 된다. 그 내용을 보면, 2개의 독 매각 9천억, 14개 자회사 매각 3천억원, 특수선 사업부 지분 매각 3천억원, 인력 감축 1조2천억원 등이다. 대우조선은 추가 위험에 대비해 2조원 이상의 비상 계획도 마련하기로 했다. 2018년 대우조선의 수주 실적은 예년의 120억달러보다 약간 작은 90억달러 정도로 예상됐다.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 삼호중공업 등 현대중공업그룹 3사도 모두 3조5천억원 규모의 구조조정을 시행한다. 하이투자증권 등 비핵심자산 매각 1조5천억원, 독 가동 중단과 인력 감축 등 경영 합리화 8500억원, 사업 조정 1조1천억원 등이다. 비상 상황이 벌어지면 3조6천억원의 추가 구조조정도 실시한다. 현대중공업그룹은 2018년께 예년 수준인 180억달러의 수주 실적을 회복할 것으로 예상됐다.
삼성중공업도 부동산, 유가증권 등 비생산자산 매각 통해 5500억원, 인건비 절감 등 9천억원을 포함해 모두 1조4500억원의 구조조정을 실시한다. 2018년 수주 실적은 예년의 110억달러의 절반 수준인 60억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됐다.
정부는 2대 해운사 정상화와 구조조정에도 속도를 내기로 했다. 한진해운은 22개 선주회사와의 용선료 인하 협상을 해야 하고, 오는 회사채권자 집회를 통해 4500억원의 채무를 조정해야 한다. 정부는 한진해운의 구조조정이 실패하면 채권은행단이 원칙에 따라 처리한다고 못박았다.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로 넘긴다는 뜻이다.
현대상선은 회사채권자 채무조정이 끝났고 선주회사와의 용선료 협상도 이번 주중 마무리돼 해운동맹 가입에 집중할 예정이다. 구조조정이 마무리됨에 따라 현대상선의 부채비율은 올해 3월 말 5309%에서 올해 말 226%로 내려가고, 대주주는 현대그룹(22.6%→1.4%)에서 채권은행단(0%→40%)으로 바뀐다.
정부는 해운업계와 조선업계의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이미 마련한 12억달러를 투입해 1만3천티이유(TEU)급 컨테이너선 10척의 건조를 추진한다. 또 해운업계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해운 전문가를 양대 해운사의 경영진으로 선임할 계획이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