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24일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 여민관 집무실에 설치된 대한민국 일자리상황판 앞에서 이용섭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을 비롯한 참모진에게 일자리 현황을 설명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공공부문 안에서 대부분 비정규직으로 추정되는 정부기관 비공무원의 70%는 근속 연수가 3년 미만으로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공공부문 고용비중(2015년 기준)은 한해 전에 견줘 0.1%포인트 더 하락했다.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공공부문 일자리 통계’(2015년)를 보면, 정부기관 일자리 182만4천개 가운데 공무원과 비공무원 일자리 간에 고용안정성 측면에서 격차가 크다는 점이 여실히 드러났다. 정부기관에서 공무원 및 비공무원 일자리의 비중은 각각 69.4%와 30.6%로 나뉜다. 정부기관 비공무원 일자리의 경우, 대부분이 기간제나 무기계약직 등 비정규직 노동자로 추정된다. 공공부문 내 비정규직이 따로 구분되지 않은 이번 통계에서 간접적으로나마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처우를 살펴볼 수 있는 비교인 셈이다.
우선 비공무원 일자리의 근속 연수를 보면, 3년 미만인 이들이 전체의 70.3%에 달했다. 10명 중 7명은 근속 연수가 짧다는 얘기다. 10년 이상 근속한 비공무원은 9.4%에 그쳤다. 이에 견줘 정부기관 소속 공무원의 3년 미만 근속 비중은 전체의 14.6%에 불과했다. 대신 10년 이상 근속 비중이 63.2%로 높게 나타났다. 정부기관에서 일하고 있더라도 공무원 신분이 아닌 이들이 한 직장에서 안정적으로 일하기 어려운 상황을 보여준다. 또 2014년과 2015년을 비교했을 때 2년 동안 지속된 일자리의 경우, 공무원은 92.7%에 이르러 높은 고용안정성을 보인 반면에 비공무원의 경우 72% 수준에 그쳤다.
성별로 보면 정부기관 공무원 가운데 남성은 61.4%로 높은 비중인 데 견줘 여성은 38.6%에 그쳤다. 반대로 비공무원은 여성이 65.9%로 높았고 남성은 34.1%에 그쳤다. 남성이 더 안정적인 공무원 일자리에 많이 포진해 있는 셈이다. 연령별로는 공무원과 비공무원 모두에서 40대(공무원 31.6%, 비공무원 28.0%)가 가장 많았다.
전문가들은 이번 통계에는 빠진 외주용역 일자리까지 따지면 양극화가 더 심각할 것이라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정흥준 한국노동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정부기관에서 비공무원이 30%에 이를 정도로 큰 비중인데, 이들을 불안정한 일자리로 방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상시·지속 업무라면 이들을 정규직화할 수 있는 별도의 직급·임금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더 늘어야 할 공공부문 고용 비중이 외려 하락세를 보였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2015년 8.9%였던 공공부문 고용 비중은 한해 전인 2014년 9.0%보다 0.1%포인트 더 낮아졌다. 공공부문 일자리가 2014년 230만8천개에서 2015년 233만6천개로 2만8천개가 늘었지만, 같은 기간 민간부문 일자리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 것이다.
허승 기자
rais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