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정지 조처를 당한 송영중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 상임부회장은 12일 “자진사퇴는 없다. 회장단 회의가 열리면 제 의사를 적극 밝히겠다”며 정면돌파 뜻을 밝혔다.
송 부회장은 이날 오전 <한겨레>와 만나 본인 거취를 놓고 벌어진 최근 갈등에 대해 “경총의 기존 문화를 바꾸려다 벌어진 일”이라며 “물러서지 않고 제 뜻을 관철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경총은 송 부회장에 대해 “경총 방침에 역행하고 있다”며 직무정지 조처를 내렸다. 경총은 이르면 15일 회장단 회의를 열어 송 부회장 거취를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송 부회장은 이에 대해 “최근 갈등의 배경에는 최저임금 산입범위 조정 논의 과정의 혼선과 삼성전자서비스 노조와 관련한 검찰 수사가 있다”며 “손 회장이 최저임금 산입 과정 혼선의 책임을 저에게 넘기고 있고, 기존 임원들은 투명한 협회 경영으로의 전환에 반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최저임금 산입 범위 조정과 관련해 노동계 입장에 섰다는 비판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 저는 오히려 노동계와 반대로 산입 범위가 너무 좁다는 점에서 국회 논의를 반대한 것이다. 시간을 더 벌자는 차원이었다”고 말했다. 경총은 지난 5월 말 최저임금 산입 범위 조정과 관련해, 노조 쪽과 같은 의견을 냈다가 하루 사이에 입장을 번복하는 등 논란을 빚었다. 송 부회장은 “당시 손경식 경총 회장도 이런 과정을 보고받았다. 저 혼자 독단적으로 결정한 것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기존 임원진과의 갈등에 대해서는 “투명한 조직 운영을 하는 과정에서 생긴 일”이라고 했다. 그는 “4월 말 부회장이 된 지 얼마 안돼, 삼성전자서비스 노조 사건과 관련해 검찰이 경총을 압수수색했다”며 “정당한 활동인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수사에 연루된 임원들의 변호사 비용을 대주지 않아 갈등을 빚었다”고 말했다. 이어 “경총이 김영배 전 부회장 체제를 오래 거치며 회원사는 뒤로 밀리고 사무국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체제를 바꾸려한 것도 갈등의 원인이 됐다고 했다.
송 부회장은 경총 사무국이 이번 사태를 자신과 손경식 회장간 갈등으로 몰아가는 것에 적극 반박하며, 거취 논란의 직접적인 도화선이 된 ‘재택근무’는 손 회장의 조처였다고 해명했다. 손 회장이 임원들과의 갈등과 최저임금 논란 등을 들어 ‘잠시 쉬는 게 났겠다’고 해, 재택근무 형태로 근무를 했다는 것이다. 그는 “갈등이 격화되는 상황에서 잠시 떨어져 있는 게 낫다고 봐 받아들였다”며 “재택근무를 들어, 내가 경총 부회장직을 그만둘 것처럼 몰고가는데,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송 부회장은 참여정부 때 노동부 근로기준국장과 산업안전국장 등을 지낸 이력으로 지난 4월 취임 때부터 ‘친정부·친노동 성향 인사’란 논란을 빚었다. 경총 부회장으로서 재계 입장을 제대로 대변할 수 있겠느냐는 의심이었다. 이에 대해 송 부회장은 “경총 부회장으로서 친정부, 친노동 성향의 주장을 해 본 적이 없다”며 “경총이 사회적 대화를 무조건 거부하지 않고, 일단 들어본 뒤에 회원사 의견을 들어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송 부회장은 '여당 고위인사를 통한 영입설'에 대해 "전혀 사실이 아니다. 나는 정당한 방식으로 손 회장 면접을 보고 부회장이 됐다"고 말했다.
그는 거취와 관련해 “회장단 논의만을 통해 부회장인 저를 사퇴시킬 수는 없을 것”이라며 “이사회 혹은 총회를 통해 해야 할텐데, 최대한 설득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