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관철동 젊음의 거리에서 노점 상인들이 비가 오는 가운데 영업을 준비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네 차례 추경으로 국고채 발행을 2019년 계획보다 45조원어치나 더 했는데도 저금리 덕에 이자비용은 2019년 예상한 19조9천억원보다 2조6천억원이 적은 17조3천억원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지난해 내놓은 중기재정계획에서도 2024년까지 국가채무는 계속 늘지만, 이자비용 부담은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재정여력을 평가할 때 단순히 채무 규모와 증가 속도만 따질 게 아니라 이자비용 부담까지 폭넓게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1일 나라살림연구소와 기획재정부 등의 자료를 보면, 기재부는 지난해 9월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 제출한 ‘중기재정계획에 따른 연도별 이자비용 추계’에서 2020년 국고채 이자비용을 국내총생산의 0.92% 수준인 17조8천억원으로 예상했다. 2019년 국회 예결위에 제출한 같은 추계에서는 19조9천억원으로 예상했었다. 하지만 지난해 실제 지출한 이자비용은 17조3천억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해 9월 추계보다는 5천억원, 전년 추계보다는 2조6천억원의 이자비용이 감소한 것이다. 지난해 9월에는 4차 추경으로 7조5천억원 규모의 국고채를 추가로 발행하기도 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국고채 금리를 2.6%대로 예상했는데, 실제로는 1%포인트 이상 금리가 낮아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기재부의 중기재정운용계획과 연도별 이자비용 추계에 따르면, 부담은 크게 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채무는 올해 945조원에서 2022년 1070조3천억원, 2023년 1196조3천억원, 2024년 1327조원으로 늘어나고, 국내총생산 대비 국가채무비율도 각각 46.7%, 50.9%, 54.6%, 58.3%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국고채 잔액은 올해 828조9천억원, 2022년 951조8천억원, 2023년 1077조6천억원, 2024년 1208조6천억원으로 증가한다. 이에 따른 국고채 이자비용은 각각 20조2천억원, 22조4천억원, 24조원, 25조5천억원, 국내총생산 대비 이자비용 비율은 각각 1.00%, 1.07%, 1.10%, 1.12%로 전망됐다. 2015년 당시 국고채 잔액이 458조원, 이자비용은 17조7천억원(국내총생산 대비 1.07%)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국고채 잔액이 2024년 1200억원 이상으로 3배 가까이 증가하는데도 이자비용 부담은 크게 늘어나지 않은 셈이다.
이상민 나라살림연구소 연구위원은 “재무건전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은 국가채무 규모보다 경직성을 띤 이자비용”이라며 “이자비용 부담을 정확하게 산출해 재정여력을 평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고채 잔액 역시 같은 기간 828조9천억원, 951조8천억원, 1077조6천억원, 1208조6천억원으로 증가한다. 중앙대 류덕현 교수(경제학)는 “국가채무의 지속가능성을 따질 때 국가채무비율만이 아니라 경제성장률과 이자율 간 관계, 단기채무 비중, 적자성 채무 비중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은 2019년 기준 남은 만기가 1년 이하인 단기채무 비중이 7.3%로, 프랑스(23.7%), 영국(11.4%) 등 주요 선진국 평균인 20.4%보다 낮고 계속 줄여나가고 있다.
이정훈 이경미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