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2.6% 올랐다. 2012년 4월 이후 9년 1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이다. 지난 4월과 같이 농·축·수산물 가격과 국제유가 상승이 물가 오름세의 주된 요인으로 꼽혔다. 개인서비스 가격도 오름세가 확대됐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5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2015=100)는 107.46으로 1년 전보다 2.6% 상승했다. 지난 4월(2.3%)에 이어 두달 연속 2%대 오름폭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지난해 10월부터 4개월 연속 0%대를 이어오다가 올해 2월부터 매달 오름폭을 키워왔다. 미국의 지난 4월 물가상승률이 4.2%를 나타내며 국내외 인플레이션 우려가 확산되고 있지만, 정부는 지난달과 마찬가지로 ‘기저효과’로 인한 일시적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지난해 5월 물가상승률(-0.3%)이 매우 낮았던 것의 반사효과라는 것이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지난해 2분기 물가상승률이 국제유가 급락으로 인해 굉장히 낮았다. 기저효과로 인해 다음달에도 2%대 상승률을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며 “소비자물가 상승을 주도하는 요인은 농·축·수산물과 석유인데, 농·축·수산물은 오름세가 둔화하는 모양새고 국제유가도 더 높아지진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두 품목의 물가상승 ‘기여도’ 합계는 1.8%포인트(p)로 5월 물가상승률 2.6%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농·축·수산물은 파(130.5%), 마늘(53%), 달걀(45.4%) 등 가격이 오르면서 1년 전보다 12.1% 상승했다. 석유류 가격도 23.3% 올라 2008년 8월 이후 가장 크게 뛰었다. 휘발유는 23%, 경유는 25.7%, 자동차용 엘피지(LPG)는 24.5% 올랐다.
개인서비스 가격이 2.5% 상승하는 등 서비스 영역도 물가 인상에 크게 기여했다. 보험서비스료(9.6%), 구내식당식사비(4.4%) 등이 상승을 이끌었다. 집세도 1년 전보다 1.3% 올라 2017년 10∼11월(1.4%) 이후 최대 상승폭을 보였다. 특히 월세가 0.8% 상승했는데 이는 2014년 8월 이후로 가장 크게 오른 것이다. 실제 물가의 장기 추세를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 상승률도 1.5%로 2017년 9월 이후 최대다.
이지혜 기자
godo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