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액결제거래(CFD) 계좌발 금융시장 혼란이 일파만파 퍼지고 있다. 금융당국이 진화에 나섰으나, 투자원금보다 손실이 더 커질 수 있는 레버리지 상품의 특성상 그 여파를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관련된 종목의 주가가 연일 널뛰는 데다 주가조작 논란을 둘러싼 잡음도 끊이지 않고 있어 혼란이 계속될 전망이다.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 창구를 통한 매물의 영향으로 연일 하한가를 기록했던 8개 종목은 28일 주식시장에서 모두 전날 종가보다 상승한 채로 마감했다. 삼천리(22.89%)와 서울가스(13.49%), 세방(11.07%), 다올투자증권(10.43%)은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선광과 대성홀딩스 등 일부 종목은 이날 급락세로 출발했으나 장중 상한가에 근접하는 등 높은 변동성을 보였다. 앞서 이들 8개 종목은 최대 4거래일 연속 하한가를 기록했는데, 차액결제거래 계좌에서 대규모 반대매매 물량이 쏟아진 영향으로 추정되고 있다.
주식시장에서 차액결제거래 계좌발 혼란이 가시지 않는 모습이다. 차액결제거래는 투자자가 주식 등 기초자산을 직접 보유하지 않고 그 가격 변동분에 해당하는 차액만 결제하는 장외파생계약의 일종이다. 적은 돈으로도 큰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자산 가격이 떨어질 땐 투자원금보다 더 큰 손실을 볼 수 있다. 투자자는 기초자산 가격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증거금만 넣어두면 되는데, 기초자산 시세 하락에 따라 증거금이 부족해지면 증권사에서 추가 증거금 납입을 요구한다. 이때 투자자가 돈을 넣지 못하면 반대매매가 진행되는 식이다. 기본적으로 ‘빚투’(빚내서 투자)에 해당해 그만큼 리스크가 크다.
금융당국은 일단 ‘빚투’ 리스크 관리에 고삐를 죄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이날 증권사 35곳과 회의를 열고 차액결제거래와 관련된 리스크가 확산되지 않도록 관리해달라고 요청했다. 특히 증권사에서 투자 권유를 할 때 손실 위험을 충분히 안내하고, 관련 고객 유치 이벤트는 자제해달라고 했다. 금융당국은 차액결제거래와 관련해 제도 개선 필요성은 없는지도 들여다보고 있다. 이날 금감원 집계를 보면, 지난 2월 말 국내 투자자들의 차액결제거래 잔고는 3조5천억원(기초자산 시가 기준)으로 지난해 말보다 52.2% 늘었다.
금융당국의 불공정거래 조사도 범위가 계속 넓어질 전망이다. 시장에서는 차액결제거래를 이용한 주가조작에 가담한 세력이 1천명을 넘는 것으로 추정한다. 유명 인사들도 여럿 거론된다. 다우데이타 주가 폭락 직전에 보유 지분을 처분한 김익래 다우키움그룹 회장이 대표적이다. 황현순 키움증권 사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직을 걸고 (문제가) 없다고 할 수 있다”며 의혹을 부인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이날 “지위 고하나 재산의 유무, 사회적 위치와 무관하게 법과 원칙의 일관된 기준으로 가능한 한 최대한 신속하고 엄정하게 조사하겠다”고 말했다.
이재연 기자
jay@hani.co.kr 박순빈 선임기자
sbpar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