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금융·증권

새마을금고 ‘아날로그 뱅크런’에 시간 벌었지만…연체율 관리 ‘산넘어 산’

등록 2023-07-10 18:47수정 2023-07-11 02:49

서울 시내 한 새마을금고 지점 앞. 연합뉴스
서울 시내 한 새마을금고 지점 앞. 연합뉴스

새마을금고 사태의 중장기적 판도를 결정할 핵심 요인인 연체율 추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예금 인출 속도가 정점을 지난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불안 심리가 완전히 걷히려면 핵심 건전성 지표들이 개선돼야 한다는 분석이다. 정부와 새마을금고도 부실채권을 적극 매각해 연체율을 개선한다는 방침이나, 일부 금고의 경우 이 또한 만만찮은 과제가 될 공산이 크다는 평가가 나온다.

10일 정부와 새마을금고중앙회 설명을 종합하면, 새마을금고는 당분간 연체율을 떨어뜨리기 위해 부실채권 매각에 집중할 계획이다. 부동산 대출 부실과 연체율 오름세에 대한 불안 심리를 누그러뜨러야만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의 불씨가 완전히 꺼질 것이라는 진단이다. 이를 위해 올해 안에 대출원금 기준으로 총 1조2천억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한국자산관리공사와 엠시아이(MCI)대부에 매각하기로 했다. 새마을금고 여신 잔액이 약 200조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연체율을 0.6%포인트 낮추는 효과가 날 것으로 추정된다. 새마을금고 연체율은 지난해 말 3.59%에서 지난달 말 6%대로 오른 바 있다.

문제는 부실채권이 매각되는 가격이다. 부실채권은 담보 유무와 감정가, 변제 순위, 연체 기간 등이 종합적으로 반영된 할인가격에 매각된다. 새마을금고는 담보가 있는 선순위 대출을 중심으로 취급해 유리한 측면이 있으나, 일부 금고는 대출심사 때 담보 가치를 부풀린 것으로 드러난 바 있다. 이 경우 담보 감정평가 과정에서 부실채권 가격이 기존에 예상했던 것보다 더 떨어질 수 있다. 상대적으로 헐값에 넘겨야 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금고들이 이때 발생하는 손실을 감당할 수 있을지도 관건이다. 금융회사는 이처럼 대출채권이 부실화할 경우에 대비해 대손충당금을 쌓아둔다. 새마을금고 감독기준은 3개월 이상 연체된 고정채권은 20%, 돈이 떼일 가능성이 높은 회수의문채권은 55%, 회수 가능성이 없는 추정손실채권은 100%에 해당하는 금액을 대손충당금으로 적립하도록 한다. 통상 금융회사는 감독기준을 넉넉히 웃도는 금액을 쌓아두지만 일부 금고들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한 예로 지난해 말 대구 신천새마을금고의 고정이하여신(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은 231억3200만원이지만, 대손충당금은 고정이하여신의 37%인 79억7500만원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사들이 해당 비율을 100%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과 대비된다.

감독기준에 따른 대손충당금 적립이 제때 이뤄지지 않았을 가능성도 우려 요인 중 하나다. 지난해 말 대구 지역의 신천새마을금고 등 12곳은 중앙회를 상대로 가처분신청을 낸 바 있다. 중앙회는 당시 4년째 공사가 중단된 오피스텔 다인로얄팰리스와 관련된 대출을 모두 ‘회수의문’으로 분류하고 대손충당금을 더 쌓으라고 했는데 이 요구의 효력을 정지해달라는 취지다. 가처분신청은 일부 금고가 당기순손실을 기록했음에도 배당 지급을 확정한 뒤인 지난 3월 말에야 철회됐다. 아울러 최근 감독 사각지대 문제가 불거진 데 따른 낙인 효과도 불안 심리를 키울 수 있는 요인이다.

예금 인출 속도의 둔화로 번 시간을 건전성 개선에 ‘올인’해야 하는 형국인 셈이다. 금융당국은 지난 7일 인출액이 전날보다 1조원가량 줄고 10일에도 인출액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실리콘밸리은행(SVB)처럼 한순간에 대규모의 예금 인출이 이뤄지는 ‘디지털 뱅크런’과 달리, 아직도 비대면 거래 비중이 높은 새마을금고는 예금 인출이 보다 더디게 이뤄지는 모양새다. 감독당국으로서는 건전성 지표를 개선해 불안 심리를 잠재울 시간이 주어진 셈이다.

한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그래도 새마을금고의 경우 담보대출 비중이 높기 때문에 전반적인 연착륙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재연 기자 ja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한화는 왜 매년 100억짜리 불꽃을 쏠까 1.

한화는 왜 매년 100억짜리 불꽃을 쏠까

찬물이냐 끓는물이냐…물리학자와 라면회사 ‘면발 논쟁’ 2.

찬물이냐 끓는물이냐…물리학자와 라면회사 ‘면발 논쟁’

5만원 두 장 붙은 지폐 판매…일련번호 빠른 900세트는 경매로 3.

5만원 두 장 붙은 지폐 판매…일련번호 빠른 900세트는 경매로

[단독] 부라보콘의 ‘콘’ 바뀌었는데, 왜 공정위가 ‘칼’ 뽑았나 4.

[단독] 부라보콘의 ‘콘’ 바뀌었는데, 왜 공정위가 ‘칼’ 뽑았나

‘쌀먹’ ‘가챠’로 망가지는 ‘게임 왕국’ 대한민국 5.

‘쌀먹’ ‘가챠’로 망가지는 ‘게임 왕국’ 대한민국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