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금융·증권

‘이복현표’ 상생금융 취급액 64조…집값 반등에 영향 끼쳤나

등록 2023-09-24 14:29수정 2023-09-25 02:45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왼쪽)과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이 지난 3월30일 서울 영등포구 우리은행 영등포 시니어플러스점에서 열린 개점식에 참석해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왼쪽)과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이 지난 3월30일 서울 영등포구 우리은행 영등포 시니어플러스점에서 열린 개점식에 참석해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금융감독원이 이끈 ‘상생금융’ 상품의 공급 규모가 64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의 집값 반등과 가계대출 증가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24일 금감원 발표를 보면, 금융권이 지난달까지 공급한 상생금융 관련 상품은 총 63조9천억원 규모에 이르렀다. 상생금융은 올해 3월부터 이복현 금감원장이 주요 금융회사를 방문하며 이끌어낸 대출금리 인하 등을 가리킨다. 63조9천억원은 이런 상생금융이 적용된 상품의 공급 규모를 모두 합산한 것이다. 상생금융을 통한 이자·수수료 등의 경감 금액은 연간 4700억원으로 추산됐다.

이는 가계대출의 증가 전환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가계대출이 늘어나기 시작한 건 올해 4월로 주요 은행이 대출금리를 인하한 시점과 겹친다. 가령 우리은행은 4월부터 모든 가계대출 상품의 금리를 최대 0.7%포인트 인하했는데, 실제로 이 은행의 주담대 가중평균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3월 연 5.23%에서 4월 4.70%로 크게 떨어졌다. 금감원이 설명해온 것과 달리 취약계층만 겨냥한 ‘미시적 조정’이 아니었다는 얘기다. 최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도 특례보금자리론 공급과 함께 금융당국의 감독·지도 등을 집값 반등과 가계대출 증가의 주된 원인으로 꼽은 바 있다.

가계대출은 이달 들어서도 빠른 속도로 불어나고 있다. 지난 21일 국내 5대 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은 전달 말보다 1조6419억원 늘어난 682조4539억원이었다. 이미 8월 한 달간의 증가폭(1조5912억원)을 넘어선 것이다. 주담대 잔액은 같은 기간 1조8759억원 불며 8월 증가액(2조1122억원)에 육박했다. 다만 추석 연휴가 있는 이달 하순에는 증가폭이 다소 주춤할 가능성이 있다.

이재연 기자 ja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한국 반도체 생산 비중, 8년 뒤 대만 제치고 세계 2위 전망 1.

한국 반도체 생산 비중, 8년 뒤 대만 제치고 세계 2위 전망

도시락 사면 비트코인 준다…이마트24, 3만개 한정판매 2.

도시락 사면 비트코인 준다…이마트24, 3만개 한정판매

연이율 최대 5.5% ‘아이 적금’ 들까…60살 이상 최대 10% 상품도 3.

연이율 최대 5.5% ‘아이 적금’ 들까…60살 이상 최대 10% 상품도

‘제4이통’ 스테이지엑스, 공식 출범…야놀자·더존비즈온 등 참여 4.

‘제4이통’ 스테이지엑스, 공식 출범…야놀자·더존비즈온 등 참여

‘제2 증권거래소’ 내년 출범…하루 12시간 주식거래 5.

‘제2 증권거래소’ 내년 출범…하루 12시간 주식거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