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집마련이나 아이들 교육비 준비를 위해 장기주택펀드와 어린이펀드에 가입한 서민들도 최근 1년 동안 펀드 원금의 30% 이상을 까먹은 것으로 조사됐다.
14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신학용(민주당) 의원한테 제출한 자료를 보면, 10일 기준으로 29개 내집마련장기주택 주식형펀드의 최근 1년간 평균 수익률이 -33.76%를 기록했다. 어린이펀드(15개)도 최근 1년간 평균 33.65%의 손실을 내고 있다. 장기주택펀드 가운데 ‘삼성 장기주택마련대표주식종류형자1-C1’ 펀드의 수익률이 -39.32%로 가장 저조했으며, ‘미래에셋 차이나업종대표 장기주택마련주식형자C-C’ 펀드(-34.62%)가 뒤를 이었다. 내집마련 꿈을 이루기 위해 펀드에 가입했다 외려 내집마련의 길이 더 멀어진 셈이다.
어린이펀드의 경우 ‘미래에셋 우리아이 친디아업종대표주식형자1자C-C’ 펀드의 1년 수익률이 -49.59%로, 원금의 절반이 공중으로 사라졌다. ‘우리 쥬니어네이버 적립주식1’(-37.07%), ‘농협CA 아이사랑 적립주식1’ 펀드(-36.65%) 등은 원금의 40%가량이 증발했다.
한편, 서민들이 이들 펀드에서 상당 부분 돈을 날린 사이에 자산운용업체들은 짭짤한 수익을 챙겼다. 2006년부터 최근까지 2년8개월 동안 장기주택펀드와 어린이펀드 투자자들이 운용사와 판매사 등 기관에 펀드 운용·판매·관리 명목으로 낸 수수료는 모두 615억원에 이르렀다. 안창현 기자 blue@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