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크아웃 등 구조조정이 필요한 부실기업 수가 지난해보다 줄었다. 에스티엑스(STX)조선해양 등 조선·해운업계 부실기업의 구조조정이 마무리된데다 올 상반기 기업실적이 개선된 영향으로 보인다.
금융감독원은 3일 631개 대기업의 신용위험을 평가한 결과 25개 기업이 워크아웃 또는 회생절차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건설업이 8개로 가장 많고, 조선업(3개), 기계업·전자업·발전업(각 2개) 순이었다.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C등급(워크아웃 대상)은 13개, 정상화 가능성이 낮은 D등급(기업회생)은 12개로 분류됐다. 건설업은 올 상반기 과열에 가까울 정도로 경기가 좋은데도 지난해 6곳에서 올해 8곳으로 늘었다. 프로젝트파이낸싱 사업 부진 등으로 부실이 쌓인 건설사들이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된 탓이라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구조조정 대상 기업은 전체적으로 지난해 32개보다 7개나 줄었다. 금융회사들이 이들 기업에 물린 돈도 2조5천억원으로 지난해 19조5천억원에 견줘 대폭 감소했다. 구조조정 대상 기업이 줄어든 것은 에스티엑스조선해양 등 조선업과 해운업계의 부실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이 마무리된 영향이 크다. 조선업계는 지난해 6개 기업이 구조조정 대상이었으나 올해 3개로 줄었고, 해운업은 지난해 3개였으나 올해는 없다. 김영주 신용감독국장은 “지난해 부실이 컸던 조선·해운업계의 구조조정이 마무리된 것과, 올 상반기 기업실적이 개선된 상황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말했다.
채권단 자율 구조조정이 진행 중인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금감원의 구조조정 대상에선 빠져 논란이 일었다. 당시 ‘수주 절벽’에 부딪히고, 10조원 규모의 부실을 안고 있어 이미 한계점에 이르렀는데도 B등급을 받은 바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평가 결과 올해는 대우조선과 같은 사례가 나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구조조정 대상 기업에 대출을 해준 금융회사들의 건전성도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금융회사들이 이미 1조원 규모의 대손충당금을 쌓고 있기 때문이다. 금감원은 이들 기업에 대한 구조조정 결과에 따라 추가로 적립해야 할 충당금은 은행 1700억원, 보험사 350억원, 저축은행 20억원 등으로 추산했다.
금감원은 또 중소기업에 대한 신용위험 평가 작업을 지난달 시작했다고 밝혔다. 결과는 11월에 발표된다. 금감원은 “중소기업 평가는 기술력과 성장성을 반영해 유망 기업이 창업 초기에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춘재 기자
cj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