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중국 베이징에서 시민들이 코로나19 대비용 약을 구매하기 위해 줄 서 있다. 베이징/로이터 연합뉴스
중국에 진출했던 기업이 국내로 복귀하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경제성장 둔화 등 투자환경 악화 탓으로 풀이된다.
산업통상자원부가 5일 내놓은 ‘2022년 해외진출기업 국내복귀 동향’을 보면, 지난해 한해 국내복귀 기업은 24개였으며, 이 가운데 15곳은 중국에 진출했던 기업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국내복귀 기업은 ‘해외진출기업의 국내복귀 지원에 관한 법률’상 요건을 충족해 정부로부터 지원대상으로 선정된 기업을 말한다. 진출 국가별로는 중국에 이어 베트남이 4개로 뒤를 이었으며, 미국·일본·대만·멕시코·인도네시아가 각각 1개였다. 전체 복귀 기업 수는 2020년(23개사)보다는 많고, 2021년(26개사)에 견줘선 적었다.
국내복귀 지원제도를 도입한 2014년 이후 지난해까지 누적 복귀 사례는 126개사에 이르렀으며, 이 가운데 77%인 97개사가 중국 진출 기업이었던 것으로 집계됐다. 베트남 15개사, 미국 4개사, 인도네시아 2개사 순이었다.
지난해 국내복귀 기업의 복귀 지역을 보면 경기가 8개로 가장 많았고, 충남 4개, 경북 3개, 경남·전북 각 2개였다. 2014년 이후 누적으로는 경기·충남·전북 각 18개, 경북 17개, 경남 16개, 부산 10개로 나타났다.
2022년 국내복귀 기업의 투자계획 규모는 1조1089억원으로, 전년에 견줘 43.6% 증가해 처음으로 1조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국내 복귀기업 중 중견·대기업 비중은 37.5%(9개)로 역대 최고 수준이었다. 이 비중이 2020년엔 26.1%, 2021년엔 34.6%였고, 2014~2019년엔 평균 9.4% 수준이었다.
반도체 및 모바일용 인쇄회로기판(PCB) 업체 ㅅ사, 반도체용 화학제품 제조기업 ㄷ사 등 관련 법령에 따라 첨단업종, 공급망 핵심기업으로 확인받은 6개도 지난해 복귀 사례에 들어 있다고 산업부는 전했다. 첨단·공급망 핵심 기업 복귀 사례는 2020년 4개, 2021년엔 2개였다.
지난해 국내복귀 기업의 고용계획 규모는 1794명으로, 전년보다 21.3% 적었다. 이는 전기·전자, 자동차, 화학 등 자본 집약적 업종에서 복귀 사례가 많았기 때문이라고 산업부는 풀이했다. 자본 집약적 업종의 비중은 83.3%로, 2020년 78.3%, 2021년 69.2%보다 높았다. 2014~2019년엔 이 비중이 평균 60.4% 수준이었다.
국내복귀 기업들은 설문조사에서 복귀를 결정한 주 요인으로 해외투자 환경 악화, 국내 내수시장 확대를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부는 “첨단·공급망 핵심업종의 해외사업장 축소의무 면제, 공장 신·증축 없는 기존 국내공장 유휴공간 내 설비투자 국내복귀 인정 등 현장 의견을 반영한 제도 개선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김영배 선임기자
kimyb@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