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수소추출시설 구축 지원대상 5곳 선정
정부가 연간 수소차 약 5만대 분량의 수소를 추가로 확보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수소추출시설 구축사업 지원 대상으로 소규모 수소추출시설은 부산(주관 (재)부산테크노파크), 대전(대전도시공사), 강원도 춘천(한국지역난방공사) 3개 지역을, 중규모 수소추출시설은 광주광역시(한국가스공사), 경남 창원(한국가스공사) 총 2개 지역을 19일 각각 선정했다. 정부는 수소차·버스 등 수소 교통망을 조성하기 위해 수소추출시설 구축을 지원하고 있으며, 작년에는 강원 삼척과 경남 창원, 경기 평택을 소규모 추출시설 지원 대상으로 선정했다. 수소 버스는 다량의 수소를 쓰기 때문에 수요지 인근에서 생산한 수소를 경제적이고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어야 한다. 수소추출시설은 버스충전소와 직접 연결해 액화천연가스(LNG) 등에서 수소를 추출·생산하게 된다. 소규모 추출시설은 버스 40대 분량인 하루 약 1t의 수소를, 중규모 시설은 버스 150대 또는 승용차 1만대 분량인 하루 약 4t의 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 산업부는 “버스 760대 또는 승용차 4만9천대 분량에 해당하는 연간 약 7400t의 수소 공급 여력을 추가로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올해 한 곳당 50억원씩, 총 250억원을 투입해 5개 소규모 시설 구축을 지원한다. 나머지 2곳은 하반기에 선정한다. 정부는 내년까지 한 곳당 80억원씩, 총 16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의 수소승용차 보급목표는 2020년 1만5158대(이하 누적), 2022년 6만5000대, 2040년 275만대이고, 수소충전소 구축목표는 2020년 154개소(누적), 2022년 310개소, 2040년 1200개소다.
조계완 기자 kye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