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단 새도시 및 확장 예정지
새도시 왜 검단·파주?
정부가 새도시 후보지로 인천 검단과 경기 파주를 선정한 것은 택지 확보가 쉬운데다, 다른 지역에 비해 택지 보상비가 적게 들어 싼값에 주택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천 검단 새도시(458만~550만평)는 인천시가 이미 개발을 추진해 온 곳으로 매립지가 많다. 파주 새도시는 주택공사가 확대 개발을 이미 건의한 곳이다. 특히 검단 새도시 예정지와 주변 지역은 현재 토지거래 허가구역으로 묶여 있어 땅 거래가 쉽지 않아 땅값 급등 우려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파주 새도시도 주변 지역이 대부분 임야여서 비교적 땅을 싸게 수용할 수 있고, 배후엔 엘지필립스 엘시디공장 등이 들어서는 산업단지가 있다. 파주 새도시(285만평)는 200여만평만 추가해도 일산 새도시(485만평) 규모가 된다.
검단 새도시는 인천경제자유구역 청라지구에 인접한데다 면적이 김포(358만평), 판교 새도시(281만평)보다 넓어, 앞으로 청라지구의 기능을 보완하는 배후 주거·상업·물류 도시로 급부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구 경서·연희·원창동 일대 538만평(수용 인구 9만명)의 청라지구는 동북아 물류·금융 중심지로 도약하기 위해 2012년까지 국제 업무·관광레저타운 등이 건설된다. 새도시 주변엔 또 100만평 규모의 검단 공업지역이 2011년까지 조성된다. 따라서 남쪽의 송도국제도시에 이어, 청라지구와 검단 새도시는 서북부를 대표하는 도시가 될 것으로 인천시는 전망하고 있다.
검단 새도시는 서울 등 수도권 서남부 쪽 주택 수요를 흡수할 것으로 예상된다. 검단 열린부동산의 이미자 실장은 “수도권 쓰레기매립지 도로와 올림픽도로를 이용할 경우 서울 진입이 쉽다”며 “새도시가 조성되면 서울에서 오는 수요가 많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서울 강남과는 멀어 ‘강남 수요’의 흡수가 어렵다는 단점은 있다. 검단 새도시에서 서울 강남까지는 1시간 이상 걸린다.
한편, 새도시 개발 계획이 알려진 24일 인천 서구 검단 새도시 주변은 아직 차분하지만 기대감은 커지는 분위기다. 토지 시장은 토지거래 허가제가 시행중이어서 매매가 위축돼 있다. 열린부동산의 이 실장은 “매물을 사겠다는 사람은 아직 없지만 매도를 보류하려는 움직임은 있다”며 “좀더 있어야 시장 흐름이 잡힐 것 같다”고 전했다.
검단에 사는 김아무개(52)씨는 “새도시 주변 집값이 오를 것으로 기대는 하고 있지만, 새도시 조성이 이미 예상됐던 것이어서 그런지 좀더 지켜보자는 분위기가 대세”라고 말했다. 그러나 마전동 대인부동산 관계자는 “개발 소식과 함께 부동산 가격이 오를 것”이라고 달리 전망했다.
파주 새도시인 교하읍 일대도 비슷한 상황이다. 파주 교하읍 신일부동산 관계자는 “북핵 여파로 잠시 거래가 주춤했지만, 운정지구 한라비발디 분양으로 촉발된 이 지역 부동산 열기가 다시 달아오를 것”이라고 기대했다. 허종식 기자 jongs@hani.co.kr
파주 새도시인 교하읍 일대도 비슷한 상황이다. 파주 교하읍 신일부동산 관계자는 “북핵 여파로 잠시 거래가 주춤했지만, 운정지구 한라비발디 분양으로 촉발된 이 지역 부동산 열기가 다시 달아오를 것”이라고 기대했다. 허종식 기자 jong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