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미국·중남미

미 소비자 물가 상승률 8개월 만에 둔화

등록 2022-05-11 22:50수정 2022-05-11 23:50

4월 CPI 8.3% 상승…시장 “정점 지난 듯”
미국의 4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8.3% 오르며 물가 상승율 증가세가 8개월 만에 꺾였다. 지난달 12일 자동차가 비피(BP) 주요 앞을 지나는 모습. 워싱턴/AFP 연합뉴스
미국의 4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8.3% 오르며 물가 상승율 증가세가 8개월 만에 꺾였다. 지난달 12일 자동차가 비피(BP) 주요 앞을 지나는 모습. 워싱턴/AFP 연합뉴스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던 미국의 물가 상승세가 8개월 만에 다소 꺾였다.

미국 노동부는 11일(현지시각)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3% 올랐다고 밝혔다. 여전히 매우 큰 상승률이긴 하지만, 40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던 3월(8.5%)보다는 다소 누그러졌다. 미국에서 물가 상승률이 꺾인 것은 8개월 만이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2%, 전달보다 0.6% 각각 올랐다.

미국 물가는 코로나19 팬데믹이 2년을 넘기던 지난해 4월부터 슬금슬금 오르기 시작했다. 이후 경기가 본격 회복세를 보이던 지난해 가을 급격히 늘어난 수요를 공급이 따라 잡지 못하면서 6%대로 뛰어 우려를 키웠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2월 말 예상과 달리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전격 침공하며 에너지 가격이 급등해 물가 상승세에 기름을 부었다.

하지만,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4일 무려 22년만에 기준금리를 단번에 0.5% 올리는 등 적극 대응에 나서며 8개월 만에 상승률이 다소 꺾였다. 제롬 파월 연준 이사회 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너무 높은 인플레이션”에 대응해 “가격 안정을 회복하려면 최대한 빠르고 효과적으로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시장에서도 “에너지 가격이 다시 급등하지 않은 한 3월이 물가 상승률이 정점을 찍은 시점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전미자동차협회(AAA)가 10일 전국 평균 휘발유 가격이 1갤런에 4.37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히는 등 물가 상승세는 쉽게 잡히지 않을 전망이다.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1.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2.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3.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4.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5.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