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중 ‘구속력 있는 결의안’ 거부…볼턴 대사,별도의 ‘제재 동맹’ 내비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 이사국과 독일은 2일 파리에서 고위급회담을 열어, 우라늄 농축활동 중단을 거부한 이란의 핵문제에 대한 공동 대처 방안을 논의했으나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
이들 국가들은 9일 뉴욕에서 열릴 6개국 외무장관회의에서 이 문제를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미국·영국·프랑스 등 3국은 ‘구속력있는 유엔 결의안 추진’을 주장한 데 반해, 러시아와 중국은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며 거부했다고 회담 관계자는 전했다.
니콜러스 번스 미국 국무차관은 “안보리가 유엔헌장 7장에 따라 결의안을 추진하는 외에 다른 대안이 없다”며 결의 추진을 밀어부칠 것이라고 밝혔다. 유엔헌장 7장은 유엔의 요구에 강제력을 부여해 제재와 무력사용을 가능케 한 조항이다.
이와 관련해 미국은 이란 제재를 위한 또다른 형태의 ‘의지의 동맹’을 고려하고 있음을 내비쳤다. 존 볼턴 유엔주재 미국대사는 이날 하원 정부개혁위원회 국제관계소위원회에 출석해,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이란을 강력히 제재할 수 있는 결의안 통과가 어려울 경우 이란 제재에 동참할 국가들로 ‘연합’을 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란 핵문제를 둘러싼 이란과 이스라엘간의 대립양상도 격화되고 있다. 이란혁명수비대의 모하마드 이브라힘 데흐가니 장군은 이날 <이란학생통신>과 회견에서 “미국이 이란을 공격할 경우 이스라엘이 첫번째 보복 표적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단 할루츠 이스라엘군 참모총장은 “세계가 이란의 핵무기 개발을 막을 수 있는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이스라엘은 세계의 일부”라고 말해, 이란을 겨냥한 군사적 행동 가능성을 내비쳤다.
류재훈 기자, 외신종합 hoonie@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