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기협회 ‘맞불작전’식 해법 내놓자
“현실성 없고 교육적 악영향” 비판
“현실성 없고 교육적 악영향” 비판
총기 사고를 없애기 위해 ‘총기협회(NRA)가 내놓은 ‘맞불작전’식 해법에 대해 반대 여론이 빗발치고 있다. 총기 사고를 막기 위해 학교에 무장경찰을 배치하는 것은 현실적이지도, 바람직하지도 않다는 것이다.
웨인 라피에르 총기협회 부회장은 21일 미국 워싱턴DC에서 기자회견을 자청해 “총을 가진 나쁜 사람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총을 가진 착한 사람 뿐”이라며 미국의 모든 학교에 무장경찰을 의무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총기협회는 그동안 시도된 총기규제를 무력화해 온 미국의 강력한 로비단체로 이날 회견은 코네티컷주 뉴타운 샌디훅 고등학교 총기 난사사건으로 26명이 숨진 사고가 발생한 지 일주일 만에 이뤄졌다.
라피에르 부회장은 전국에 생중계된 회견에서 “5년 전 버지니아공대 총기난사 사건 당시 모든 학교에 무장경찰을 의무화해야 한다고 했을 때 사람들이 정신 나간 생각이라고 비난했지만, 이번 사고 때 훈련된 무장경찰이 신속하게 애덤 랜자를 제압했다면 큰 비극을 막을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총기난사 사건의 책임을 폭력적인 게임과 영화 탓으로 돌리기도 했다.
일선 교사들과 치안 관계자들은 총기협회가 내놓은 해법에 대해 “문제를 지나치게 단순화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뉴욕타임스>는 “미국에는 9만9천여개의 공립학교와 3만3천여개의 사립학교가 있고, 경찰관의 수는 45만2천명이다. 각 학교에 한명의 무장 경찰을 배치하려면 전체 정원의 25%에 해당하는 인원을 더 뽑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크레이그 스텍클러 국제경찰기관장회의(IACP) 의장은 “학교에 무장 경찰로 일할 자격을 갖춘 인재가 충분한지부터 의문이다. 학교에 무장 경찰을 배치하는 것보다, 무기에 대한 통제와 심리 치료 등이 더 나은 대안”이라고 지적했다.
일부 교사들은 학교에 무장 경찰이 배치됐을 때 벌어질 수 있는 교육적 악영향을 우려하기도 했다. 코네티컷주 뉴타운을 지역구로 두고 있는 크리스 머피 하원의원(민주당)도 트위터에 “내가 지금까지 들어본 가장 역겹고, 말귀를 못 알아듣는 성명”이라고 총기협회를 비난했다.
규제 찬성론자들은 기자회견장 밖에 모여 비난 집회를 진행했다. 일부 시민들은 장내에서 “총기협회가 아이들을 죽이고 있다”는 펼침막을 꺼내들고 구호를 외치다 경비요원들에게 끌려 나가기도 했다. 그 때문에 회견이 두 차례 중단되는 소동이 벌어졌다.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기존 순환출자 해소’ 이한구-김종인 또 충돌
■ 길 잃은 민주당…새판짜기냐 독자쇄신이냐 ‘백가쟁명’
■ ‘MBC 정상화 해법’ 박 당선인 대통합 가늠자 될듯
■ “박근혜 정책이 MB와 다름 보여줘야 노동자죽음 막는다”
■ 박근혜 당선인 이틀째 칩거…측근 “혼자서 인수위 구상”
■ 내부 김종인…외부 강봉균·박상증 등 물망
■ [화보] 표창원 교수 “광주시민들, 힐링하세요~!”
■ ‘기존 순환출자 해소’ 이한구-김종인 또 충돌
■ 길 잃은 민주당…새판짜기냐 독자쇄신이냐 ‘백가쟁명’
■ ‘MBC 정상화 해법’ 박 당선인 대통합 가늠자 될듯
■ “박근혜 정책이 MB와 다름 보여줘야 노동자죽음 막는다”
■ 박근혜 당선인 이틀째 칩거…측근 “혼자서 인수위 구상”
■ 내부 김종인…외부 강봉균·박상증 등 물망
■ [화보] 표창원 교수 “광주시민들, 힐링하세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