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섣부른 대응 한-일분쟁 오해 위험
시의원 등에 감사편지 보내기로”
“철거는 권한 밖” 백악관 답변 예상
시의원 등에 감사편지 보내기로”
“철거는 권한 밖” 백악관 답변 예상
미국 캘리포니아주 글렌데일에 세워진 위안부 소녀상(공식 명칭 ‘평화의 소녀상’)과 관련해 재미 한인 단체들이 ‘맞불 청원’을 진행하는 대신 동상 건립을 위해 애쓴 시의원들에게 감사의 편지를 보내는 운동을 벌이기로 했다.
소녀상 건립에 앞장선 가주한미포럼(대표 윤석원)은 7일 ‘백악관 청원 사이트 소녀상 철거 요구 청원과 보호 청원 논란에 관한 포럼의 입장’이라는 보도자료에서 “백악관 청원보다는 글렌데일 시의원들에게 감사 편지나 이메일을 보내 달라”고 요청했다. 포럼은 그 이유에 대해 “일본의 철거 청원 운동에 대한 섣부른 대응은 자칫 이 문제를 인권 문제가 아닌 한-일 간 분쟁으로 보이게 할 수 있는 위험한 일”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백악관에 맞불 청원을 하는 것보다 소녀상을 지킬 실질적인 힘이 있는 글렌데일 시의원들에게 한인사회가 감사 편지나 이메일을 보내는 게 더 현명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지난해 7월30일 글렌데일 시립공원에 ‘평화의 소녀상’이 세워진 뒤, 일본은 이 소녀상을 없애려고 크고 작은 시비를 걸어왔다. 특히 일본의 <산케이신문>은 위안부와 관련된 반한 기사를 쓸 때마다 이 소녀상을 언급하며 한국이 한-일 간의 문제를 직접 논의하는 대신 미국에서 반일 운동을 진행하고 있다고 주장해 왔다. 지난달에는 ‘위안부 망언’으로 큰 비난을 받은 하시모토 도루 오사카 시장이 공동대표로 있는 유신회 소속 중의원 3명이 글렌데일 시의회를 방문해 소녀상 철거를 요구하기도 했다.
이런 흐름 속에서 지난달 11일 미국 텍사스에 사는 한 남성(64)이 백악관 청원 사이트(We the people)에 “소녀상이 일본인에 대한 증오를 조장한다”며 철거를 요구하는 안건을 제기한 바 있다. 이 청원에 대해 지난 4일 서명자가 10만명을 넘어서자 한인 사회에서도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청원자가 10만명을 넘으면 백악관이 어떤 방식으로든 견해를 밝혀야 한다. 포럼은 이 문제가 시립공원에 어떤 조형물을 설치하느냐는 시 정부의 관할이기 때문에 백악관의 답변은 연방 정부의 “권한 밖”이라는 내용이 되리라고 예측하고 있다.
워싱턴 도쿄/박현 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