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 제네바서 행동그룹 회의
현정부·반정부 세력 모두 참여토록
아사드 권력유지 우려…120명 또사망
현정부·반정부 세력 모두 참여토록
아사드 권력유지 우려…120명 또사망
역시, 소문난 잔치엔 먹을 게 없었다.
‘시리아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주요 11개국 외무장관들이 모인 ‘시리아 행동그룹 회의’가 지난 30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렸지만 핵심 쟁점인 바샤르 아사드 대통령의 처리에 대해서는 의견을 모으지 못했다.
영국 <가디언> 등 외신들은 코피 아난 유엔-아랍연맹 공동 특사(전 유엔 사무총장)의 제안으로 열린 이번 회의에서 참가국들이 현재의 폭력 사태를 멈추기 위해 현 정권과 반정부 세력 모두가 참여하는 ‘과도정부의 수립’ 등을 뼈대로 한 공동선언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아난 전 사무총장은 “시리아의 여러 세력이 과도정부를 구성해 필요한 변화를 이뤄나가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가이드라인과 원칙을 제시한 것”이라며 “1년 내에 구체적인 결과가 나오길 희망한다”고 설명했다.
외신들은 미국 등 대부분의 나라들이 공동선언에 “(아사드 정권 쪽 인사들의 참여는) 시리아의 안정과 화해에 방해가 된다”는 구절을 넣어 아사드 축출 방침을 명확히 하려 했지만, 러시아와 중국의 반대로 철회됐다고 전했다. 이를 두고 벌써부터 미-러 두 나라의 해석이 엇갈리고 있다.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회담 직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문제의 구절이 빠졌지만) 실제적으로 달라지는 것은 없다”며 “아사드는 끝이 가까워 오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과도 정부에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다”며 성명이 아사드의 퇴진을 전제로 한 게 아님을 분명히 했다. <뉴욕 타임스>는 시리아 문제에 대해서는 미-러 사이의 타협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라 지적했다.
그로 인한 고통은 오로지 시리아인들의 몫이다. 라피프 조에자티 시리아 지역조정위원회(LCC)의 대변인은 <뉴욕 타임스>에 “이번 합의는 아사드 정권에 국민들을 1년 더 죽일 권한을 준 것”이라고 비판했다. 사실상 내전 상태에 돌입한 시리아가 피비린내가 나는 긴 여름을 보내야 할 것이라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공동성명이 발표된 이날 정부군이 수도 다마스쿠스 근교의 자말카와 두마 등을 포격해 120여명이 숨졌고, 1일에도 정부군의 공격이 계속되고 있다고 영국에 있는 시리아인권관측소가 밝혔다.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하늘이시여, 정녕 이 사람이 제 남편입니까
■ 안철수 비판 3인 ‘뻔한 얘기로 치자면 MB 라디오연설 저리 가라’
■ ‘99칸 한옥’ 지은 사대부 몰락의 비밀
■ 육영수의 빈자리는 참으로 컸다
■ 비만의 주범 ‘밀’ 당장 끊어…다소 과격한 경고
■ 하늘이시여, 정녕 이 사람이 제 남편입니까
■ 안철수 비판 3인 ‘뻔한 얘기로 치자면 MB 라디오연설 저리 가라’
■ ‘99칸 한옥’ 지은 사대부 몰락의 비밀
■ 육영수의 빈자리는 참으로 컸다
■ 비만의 주범 ‘밀’ 당장 끊어…다소 과격한 경고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