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일 노다 요시히코 일본 총리는 참의원 예산위원회에 출석해 전날 열렸던 동일본 대지진 추모 행사에서 대만 대표단에 행한 결례에 깍듯이 사과해야 했다.
지난해 3월 동일본 대지진이 터진 뒤 많은 대만인들이 물심양면으로 일본을 도왔지만, 대만 대표단은 국가의 공식 사절이 아닌 민간 대표인 ‘기타 그 밖의 참가자’로 분류돼 지명 헌화를 진행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대만 대표단의 자리는 애초 행사장 1층의 각국 대표 및 국제기구 대표석에 마련돼 있었지만, 2층으로 안내돼 일반 참가자의 하나로 헌화해야 했다.
이후 세코 히로시게 자민당 의원이 “(대만은) 일본에 가장 많은 (피해 복구) 성금을 낸 나라다. 우정에 보답해야 했다”고 정부를 비난하자, 노다 총리가 “따뜻한 지원을 해주신 대만분들의 기분을 상하게 해드렸다면, 정말 드릴 말씀이 없다”며 서둘러 사태 진화에 나섰다. <마이니치신문>은 일본 정부가 대만 대표단을 국가 사절로 받아들일 수 없었던 이유에 대해 “1972년 일-중 공동선언을 맺으며 대만이 중국 영토의 일부라는 중국의 주장을 ‘충분히 이해하며 존중한다’고 동의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런 이유로 대만 대표단을 민간 대표로 취급하는 결례를 범했다는 것이다.
<요미우리신문>은 “대만은 동일본 대지진이 터진 뒤 발전기, 옷, 식료품 등 564t의 물자를 보내왔고, 마잉주 총통과 연예인들까지 직접 나서 세계에서 제일 많은 200억엔(2700억원)의 성금을 모으기도 했다”고 강조했다.
마 총통은 이날 대만 주재 일본 대사관 구실을 하는 일본교류협회 타이베이사무소에서 열린 동일본 대지진 희생자 추도행사에 참여해 “일본의 관광 사업이 부흥하기를 기대한다”며 일본 후쿠시마 지역에 대한 여행 금지 조처를 해제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교류협회는 그 답례로 지난 11일 대만 주요 신문에 일본어와 중국어로 “고맙습니다 대만, 일본은 건강하게 되살아나겠습니다”라는 1면 광고를 게재했다.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김재철 사장이 명품백 선물? 시계 기념품 받은 난 기분 나빠”
■ 대통령까지 홍보해 설마설마했던 일이…
■ 국가조찬기도회에 시간 허비할 땐가
■ “MB, 대선 이후 살려달라는 말로 들린다”
■ 아내가 건네준 책을 보는 순간 ‘아뿔싸’
■ “김재철 사장이 명품백 선물? 시계 기념품 받은 난 기분 나빠”
■ 대통령까지 홍보해 설마설마했던 일이…
■ 국가조찬기도회에 시간 허비할 땐가
■ “MB, 대선 이후 살려달라는 말로 들린다”
■ 아내가 건네준 책을 보는 순간 ‘아뿔싸’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