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이 부부장 “중국과 미국이
제재 합의했단 보도는 부정확”
북한 반발 등 긴장고조 우려
제재 합의했단 보도는 부정확”
북한 반발 등 긴장고조 우려
대북 제재의 열쇠를 쥐고 있는 중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대북 제재 결의에 동의했지만, 북한의 반발 등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는 것을 우려하는 모습이다.
중국의 차기 미국 대사로 유력한 추이톈카이 외교부 부부장은 6일 전국정치협상회의(정협) 관련 회의에서 “중국과 미국이 북한 제재에 합의했다는 보도는 부정확한 말이다. 중·미 양국이 아니라 안보리 이사회 15개국이 공동합의할 사안”이라고 말했다고 <중국청년보>가 7일 전했다. 추이 부부장의 발언은 북한 제재가 미국과 중국 양국이 아닌 안보리 회원국들의 공동 결정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중국에 대한 북한의 반발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으로 그는 “지금까지 유엔에서 통과된 모든 북한 제제 결의에 중국은 찬성표를 던졌지만, 제재로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최종적으로는 관련 당사국들이 테이블에 앉아 대화하는 방식에 기댈 수밖에 없다”며 대화를 촉구했다. 그는 ‘중국이 북한에 더 큰 압력을 행사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북한 핵 문제는 한 손바닥 만으로는 소리를 낼 수 없으며, 미국과 일본도 북한의 안보 우려를 해소하는 방안을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은 비핵화와 한반도 안정의 원칙은 바꾸지 않되, 대북 수출 물품의 통관 강화 등 북한에 대한 경고성 조처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인 2월 말부터 북중 무역거점인 랴오닝성 단둥 세관에서는 수출 규정이 엄격히 적용돼 북한으로 향하는 트럭 적재 중량이나 품목 등에 대한 상세한 점검이 이뤄지고 있다고 <마이니치 신문>이 7일 보도했다. 이와 함께 압록강 하류지역 등에서 광범위하게 행해지던 밀수에 대해서도 단속이 강화돼 식료품이나 생활물자 등의 대북 반입이 격감하면서, 북한의 식료품 가격이 급등했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