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왼쪽) 미국 대통령과 옌스 스톨텐베르그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사무총장이 지난 6월 벨기에 브뤼셀의 나토 본부에서 9·11 테러공격 기념물을 둘러보며 이야기하고 있다. 브뤼셀/AP 연합뉴스
옌스 스톨텐베르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사무총장이 “중국의 부상에 대응하는 것을 향후 나토의 중요 목표로 삼아야 한다”는 인식을 밝혔다. 내년에 개정되는 나토의 새 ‘전략 개념’(Strategic Concept)에 중국의 위협과 관련한 언급이 이뤄질지 주목된다.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은 17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와 인터뷰에서 “중국은 이미 사이버 능력, 새로운 기술, 장거리 미사일 등을 통해 유럽의 안보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며 “다음 10년에 대비한 나토의 새 전략 개념에서 이런 위협으로부터 나토 동맹국들을 어떻게 방어할지에 대해 ‘철저히’ 다뤄야 한다”고 말했다. 나토는 2022년 여름 개최되는 나토 정상회의를 통해 향후 10년에 걸쳐 나토가 대응해야 할 전략적 위협을 정의하고 이에 대응하는 방침을 정하는 ‘전략 개념’을 채택할 예정이다. 2010년 채택된 전략 개념에는 중국에 대한 언급이 없다.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은 이어 나토가 회원국의 영토 밖의 활동을 줄이고 외부의 위협에 더 잘 대응하기 위해 영역 내의 방어 역량을 키울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렇게 변화해야 하는 이유 또한 중국이었다. 그는 “중국이 점점 더 우리에 가까워지고 있다. 우리는 그들을 북극에서 만나고, 사이버 공간에서 만난다. 우리는 그들이 우리 나라의 중요한 사회기반시설에 투자하고 있는 것을 본다. 그리고 중국은 우리 모든 회원국에 도달할 수 있는 점점 더 많은 장거리 무기들을 만들고 있고, 그들은 더 많은 대륙간탄도미사일 사일로(격납고)를 건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미국은 신장·간쑤·네이멍구 등지에서 중국이 탄도미사일용 격납고를 추가 건설하는 움직임을 포착한 바 있다.
유럽연합(EU) 역시 신장, 티벳, 홍콩 등에서 자국민들의 인권을 침해하는 중국에 대한 경계심을 키우고 있다. 유럽연합은 지난달 16일 발표한 ‘인도·태평양 전략’에서 “일본, 한국, 오스트레일리아 등과 안전보장 면에서 관계를 강화해 가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이어 ‘하나의 중국’ 원칙을 내세워 중국이 민감하게 생각하는 대만 문제와 관련해서도 “반도체 공급망 등과 관련해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