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현지시각) 영국 맨체스터 세인트 피터 광장에서 파업에 참여한 교사들이 임금인상을 요구하는 팻말을 들고 있다. 맨체스터/AFP 연합뉴스
영국에서 교사, 철도 기관사, 공무원 등 최대 50만명이 동참한 대규모 파업이 진행됐다. 영국에선 실질적 임금인상을 요구하는 공공 부문 파업이 계속되고 있다.
1일(현지시각) 영국 노동조합회의(TUC)에 따르면 교사와 공무원, 대학 교직원, 철도 기관사 등이 최대 50만명의 공공부문 노동자가 파업에 나섰다고 <에이피>(AP) 통신 등이 전했다. 영국에선 간호사와 구급대원도 수 주 안에 추가 파업을 예고하고 있다.
이번 파업은 영국에서 100만명 이상이 참여했던 지난 2011년 파업 이후 약 11년 만의 최대 규모다. 이날 파업으로 2만3천개의 학교가 영향을 받고, 85%는 전부 혹은 부분적으로 휴교에 들어간 것으로 전국교육노조(NEU)는 추정했다. <에이피>는 “박물관 직원과 런던 버스 운전사, 해안 경비대 직원, 공항 직원들까지 파업에 동참했다”며 “이번 파업으로 대영박물관은 1일 문을 닫았다”고 설명했다.
공공부문 노동자들은 정부가 제시하는 임금인상률이 영국의 높은 물가 상승세를 반영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지난 10년 동안 임금이 사실상 떨어졌고, 지난해부터 생활비가 급증하면서 거리로 나오게 됐다는 것이다. 영국의 지난달 물가 상승률은 10.5%였다. 케빈 코트니 전국교육노조 공동 사무총장은 “교직원들은 더 나은 임금을 받는 슈퍼마켓에서 일하고 있다”고 말했다.
영국 정부는 계속되는 파업을 막기 위해 노조와 협상을 시도했지만 돌파구를 찾지 못했다. 정부가 이들 요구를 받아들여 임금을 올린다면, 이것이 다시 인플레이션을 부채질할 것이란 우려가 있다. 총리실은 공공부문 임금을 올리면 세금 인상, 정부 차입 확대, 다른 영역에서의 지출 삭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한다. 리시 수낵 영국 총리는 이번 교사들의 파업에 “3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임금을 올렸다. 교육은 소중하고, 그들은 오늘 학교에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파업이 계속되자 영국 정부는 보건과 교통 등의 주요 부문에서 파업을 멈추기 위해 필수 서비스 수준을 강제하는 법 도입을 추진했다. 노조는 정부의 이러한 태도가 파업권을 침해한다고 보고 더욱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폴 노왁 노동조합회의 사무총장은 “정부가 받아들일 만한 제안을 들고 올 때까지 산업 불안은 계속될 것”이라며 “지금의 문제는 마법처럼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해영 기자
hych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