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당, 총리 퇴진·조기총선 요구하며 탈퇴
긴축법안 처리 관심…부결땐 채권시장 패닉
긴축법안 처리 관심…부결땐 채권시장 패닉
한때 ‘켈틱 호랑이’란 찬사를 받으며 고속성장을 거듭했던 아일랜드가 구제금융 수용에 대한 책임공방으로 연립정부 붕괴가 초읽기에 들어가는 등 정치적 혼란에 휩싸였다.
영국 <비비시>(BBC)는 23일 아일랜드 공화당과 함께 연립정부를 구성하던 녹색당의 존 곰리 당수가 이날 연정 탈퇴를 선언하며 브라이언 카우언 총리의 퇴진과 총선의 조기 실시를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아일랜드 하원의 총 의석수는 166석으로 공화당(71석), 녹색당(6석), 일부 무소속 의원들이 모여 과반보다 겨우 2석 많은 연정을 구성해 왔다. 곰리 당수는 “그동안 공화당과의 사이에서 ‘소통의 실종’과 ‘신뢰의 파탄’이 있었다“며 ”아일랜드 국민들은 현재 하원의 정치에 경악했으며 지금보다 더 나은 정치를 볼 권리가 있다”고 말했다.
녹색당이 연정에서 탈퇴하면서 이제 관심은 조기 총선과 850억유로의 구제금융을 받는 조건으로 시행하기로 한 긴축법안의 처리 여부에 집중되고 있다. 법안에는 앞으로 4년 동안 공공부분 일자리와 사회복지 지출 감소, 부가가치세 증세 등을 통해 150억유로의 예산을 줄이는 내용이 담겨 있다. <가디언>은 “이 법안은 아일랜드가 구제금융을 받는 대가로 국제통화기금(IMF)과 유럽연합(EU) 등에 약속한 것”이라며 “법안이 통과되지 않으면 국제 채권시장이 패닉 상태에 빠지고 아일랜드 경제에 대한 신뢰가 무너질 것을 아일랜드 정부가 두려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카우언 총리도 그동안 “지금 중요한 것은 국가의 이해관계가 걸린 긴축관련 법안을 조기에 처리하는 것”이라면서 “그 뒤 의회 해산과 총선을 실시할 것”이라고 밝혀왔다. 카우언 총리에 대해 오는 25일 불신임 투표가 실시된다. 불신임이 확정되면 2월께 조기 총선이 실시되고 법안도 한동안 표류할 가능성이 있다.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