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국제경제

‘인터넷 콘텐츠’ 속으로

등록 2007-01-15 18:29수정 2007-01-15 18:53

스마트 텔레비전 시장 경쟁…애플·소니 등 셋톱박스 선보여
인터넷 콘텐츠를 안방에서 즐길 수 있는 ‘스마트 텔레비전’ 시장을 놓고 업계의 경쟁이 뜨겁다.

지난 9일 애플은 ‘2007맥월드컨퍼런스’에서 인터넷 콘텐츠를 텔레비전에서 볼 수 있게 해주는 셋톱박스 ‘애플티비’를 공개했다. 애플의 콘텐츠 유통 사이트인 아이튠스에서 내려받은 동영상 등 콘텐츠를 무선으로 텔레비전에 보내줄 수 있는 이 제품의 가격은 약 300달러다. 흰색의 소형 리모콘으로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

텔레비전 콘텐츠를 인터넷으로 볼 수 있게 한 ‘슬링박스’를 내놓았던 미국의 슬링미디어는 지난 8일 2007년 동계 디지털 가전 전시회(CES)에서, 인터넷 콘텐츠를 텔레비전으로 볼 수 있도록 한 셋톱박스 슬링캐처(SlingCatcher)를 선보였다. 올 중반기에 시장에 출시 예정인 이 제품의 가격은 약 200달러다.

같은 전시회에서, 소니는 컴퓨터 없이 인터넷 콘텐츠를 스트리밍(다운로드 없이 실시간 전송) 방식으로 텔레비전에서 볼 수 있게 하는 브라비아 인터넷 비디오 링크를 공개했다. 이더넷(가까운 거리 안에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게 하는 통신망)을 활용한 이 제품이 탑재된 텔레비전은 올해 말 출시될 것으로 보인다.

휼렛패커드(HP), 마이크로소프트, 넷기어 등도 CES에서 인터넷 콘텐츠를 텔레비전으로 가져오는 방식을 공개했다고 <비즈니스위크> 최근호가 보도했다.

다운로드 시장이 성장하면서 소비자들은 내려받은 콘텐츠를 더 크고 고화질인 텔레비전 화면으로 보길 원한다고 <시카고타임스>가 10일 분석했다. 텔레비전과 컴퓨터의 차이도 구분하기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CES 주관사인 소비자가전협회(CEA)의 최고경영자 개리 사피로는 “우리가 (방송, 통신) 융합을 처음 떠올렸던 10년 전, 텔레비전과 컴퓨터 중 무엇이 우위를 차지할지 논쟁했다”며 “오늘날 이 논쟁은 완전히 끝났다”고 말했다. 시장조사 업체 IDC의 밥 오도넬은 “(인터넷 콘텐츠를 받을 수 있는) 스마트 텔레비전 시장은 10년 안에 상당한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현정 기자 sara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1.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2.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3.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4.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5.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