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의 고위 인사들은 27일(현지시각) 남북 통신연락선 복원을 긍정 평가하면서 남북 대화를 지지한다고 밝혔다.
커트 캠벨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인도태평양조정관은 이날 워싱턴의 한 호텔에서 한미동맹재단 관계자들과 조찬 뒤 기자들의 관련 질문에 “우리는 북한과의 대화와 소통을 지지한다”고 대답했다. 그는 ‘통신선 복원 소식을 아느냐’는 물음에 “그렇다”며 이렇게 말했다.
젤리나 포터 국무부 수석부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에서 통신선 복원에 대한 입장을 묻는 말에 “미국은 남북 대화와 관여를 지지하고, 통신선 복원 발표를 물론 환영한다”며 “우리는 이것이 긍정적 조처라고 분명히 믿는다”고 답변했다. 그는 또 “한반도에서의 완전한 비핵화 달성과 항구적 평화 구축에 외교와 대화가 필수적이라는 점도 밝혀둔다”고 덧붙였다.
남북은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합의에 따라 한국 시간 27일 오전 10시부터 남북 통신연락선을 복원했다. 북한이 ‘대북전단사태’를 빌미로 지난해 6월9일 일방적으로 통신선을 끊은 지 413일 만이다.
북한이 통신선 복원으로 대화 신호를 발신함에 따라, 북-미 대화에도 청신호가 켜질지 주목된다. 바이든 정부는 지난 4월말 대북정책 검토를 마무리하고 북한에 접촉을 시도했지만 특별한 반응을 얻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8월로 예정된 한-미 연합군사연습이 첫 시험대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북한은 연합훈련 중단을 요구해왔다. 미 국방부 대변인은 언론 질의에 “한미연합사령부 정책에 따라 우리는 계획돼 있거나 시행된 훈련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다”고 즉답을 피했다. 다만 그는 “모든 한-미 훈련은 한국 정부와 한국 질병관리청의 코로나19 지침을 존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코로나19 상황에 따른 훈련 규모 조정이 이뤄질지 주목된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