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크리스마스 이튿날인 26일 워싱턴 인근 조지타운의 성삼위일체교회를 방문한 뒤 밖으로 나오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8월 아프가니스탄 철군과 중국 및 러시아와의 갈등 심화로 외교적 곤경에 빠져 있다. 워싱턴/로이터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2022년 베이징 겨울올림픽 외교적 보이콧 방침이 동맹들을 갈라놓으면서 제한적 성공에 그치고 있다고 미 의회 전문 매체 <더 힐>이 26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 매체는 외교적 보이콧에 미국의 동맹들이 모두 지지하는 것은 아니라면서 이 방침이 “제한된 성공이 될 신호가 보이고 있다”고 짚었다.
바이든 정부는 지난 6일, 중국 신장 지역에서의 인권 탄압을 이유로 베이징 겨울올림픽과 패럴림픽에 선수단은 보내되 정부 대표단은 보내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그 뒤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일본, 뉴질랜드 등이 외교적 보이콧에 동참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미국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4개국 협의체 쿼드(Quad)나 3국 동맹체 오커스(AUKUS), 영미권 5개국 기밀정보 공유동맹인 파이브아이즈 구성원이다.
하지만 미국의 동맹들이 외교적 보이콧에 다 동참하는 것은 아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3일 “외교적 보이콧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더 힐>은 “한국은 북한을 둘러싼 중국과의 조율을 들어 외교적 보이콧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고 썼다.
이 매체는 유럽연합(EU)은 최종 결정을 하지 않은 가운데 회원국들은 내부에서 갈렸다고 전했다. 프랑스는 인권에 대한 우려를 부각하기 위해서 스포츠 경쟁을 활용하는 것에 반대한다면서 베이징에 외교 사절단을 보내겠다고 밝혔다. 2026년 겨울올림픽 주최국인 이탈리아와, 겨울 스포츠 강국인 노르웨이도 외교적 보이콧에 동참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반면, 대만 대표부를 개설해 중국과 갈등을 벌이고 있는 리투아니아는 미국보다 앞서 베이징 겨울올림픽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했다.
바이든 정부는 동맹들의 갈리는 선택들에 대해 “결정은 각자의 특권”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미 정부 고위 관리는 <더 힐>에 “바이든 정부는 다른 파트너들과 (외교적 보이콧이라는) 글로벌 캠페인을 조율하지는 않는다. 다만 미국은 우리 결정에 앞서 동맹과 파트너들과 상의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초당적인 반중국 정서가 지배하는 미 의회에서는 미국의 동맹들이 외교적 보이콧에 하나가 되지 않은 점에 불만의 목소리가 나온다.
민주당의 제프 머클리 상원의원은 지난 15일 의회 발언에서 프랑스를 향해 “오랫동안 인권을 옹호해왔으니 보이콧에 동참하라”고 말했다. 같은 당의 리처드 블루멘설 상원의원은 <더 힐>에 “중국이 올림픽을 거대한 선전전 승리로 활용하는 것을 막는 데 있어서 동맹들이 우리보다 덜 단호한 것 같아 매우 걱정된다”고 말했다. 미국 동맹들의 단합 부족은 결국 중국에 이익이 될 것이라는, 매우 미국 중심적인 분석도 있다. 미시간대 국제연구소의 매리 갤러거 소장은 “(외교적 보이콧은) 어디에 이견이 있고 누가 미국 편에 서려하지 않는지를 중국에 강조해준다”고 말했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