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승찬 국방부 대변인이 브리핑을 하고 있다. 국방부 제공
국방부 대변인이 28일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아쉬움을 토로하는 듯한 발언을 해 눈길을 끌었다.
부승찬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용산 전쟁기념관이 국방부 청사보다 대통령 집무실로 더 적합하다는 의견이 있다는 보도가 있는데 이에 대한 국방부 의견은 무엇이냐’는 질문에 “의견이 있을 수가 없을 것 같다”고 답했다. 그는 이어 “국방부는 집행부서이고, 그에 따라 조치를 취하면 될 것으로 사료된다”며 “다만, ‘안보는 공기와도 같다’는 말로 답변을 대신하겠다”고 덧붙였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안보 위기 속에서도 대통령 집무실을 서둘러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려 하는 가운데, 부 대변인의 공개 발언은 이 같은 움직임에 대한 우회적 불만 표시라는 풀이가 나온다.
국방부 관계자는 “숨을 쉬지만 공기의 소중함을 모르지 않느냐”며 “국방이나 이런 쪽은 정치적으로 정쟁에 휩싸이지 않고 일관되게 국가안보를 위해서 외길만 간다. 그런 의미가 집무실 이전과 관련해 퇴색되는 듯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분들(국방부)의 99.9%가 24시간 불철주야 고생한다. 이 사람들의 피와 땀이 제대로 평가받고 있나, 이런 생각이 든다”며 “(부 대변인의 발언이) 집무실 이전과 관련이 있을지 없을지 모르나 평소엔 소중함을 모르는 것도 안보가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 당선자가 ‘탈청와대’에만 초점을 두고 집무실 이전에 가속 페달을 밟는 가운데, 안보를 뒷받침하고 있는 군에 대한 고려는 상대적으로 뒤로 밀렸다는 인식을 드러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부 대변인은 공군사관학교 43기로 임관해 10여년 군 생활 뒤 전역(예비역 소령)했으며, 정경두 전 국방장관 정책보좌관을 거쳐 연세대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을 하다가 2020년 12월 국방부의 ‘입’으로 임명됐다. 과거 최재천·김종대 의원 보좌관으로 일하기도 했다.
황준범 기자
jayb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