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2014~2015년 미국 차량호출 서비스 업체 우버의 프랑스 진출을 도운 것으로 드러나면서 궁지에 몰리고 있다. 파리/EPA 연합뉴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경제부 장관이던 2014~2015년 미국 차량호출 서비스 업체 우버의 프랑스 진출을 지원한 정황이 드러나면서 궁지에 몰리고 있다. 마크롱 대통령은 지난달 총선에서 여당이 과반을 확보하지 못하면서 국정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우버 사태로 야당의 거센 압박을 받을 전망이다.
영국 <가디언>은 11일(현지시각) 프랑스 좌파와 극우파 정치인들, 노조 단체 등이 일제히 마크롱 대통령의 우버 지원 활동에 대한 의회 진상 조사를 요구하고 나섰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전날 2013~2017년 작성된 전자우편·문자 메시지 등 8만3천건의 우버 내부 정보를 입수해, 마크롱 대통령이 2014년부터 이 회사 경영진과 긴밀하게 접촉하면서 이 회사의 프랑스 진출을 지원했다고 보도했다.
지난 2020년 여당에서 야당으로 소속을 옮긴 오렐리앙 타셰 하원의원은 마크롱 대통령과 그의 측근들이 우버 경영진과 지속적으로 접촉한 것은 “저질 스릴러물 같다”며 “이번 일은 국가적 스캔들”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정부 조사관들이 이 회사의 사무실을 수색하는 동안 우버가 마크롱 대통령에게 조언을 구한 부분은 분명히 조사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우버가 프랑스 진출을 시도하던 당시 사회당 정부의 교통부 장관이었던 알랭 비달리스는 마크롱 대통령이 우버 경영진과 ‘비밀 회동’에 가까운 접촉을 했다는 사실에 큰 충격을 받았다며 이런 행태는 ‘공모’에 가깝다고 비판했다.
좌파연합을 이끄는 ‘불복하는 프랑스’의 마틸드 파노 원내 대표는 마크롱 대통령을 ‘노동법의 규제를 영구적으로 폐지하려는 미국 다국적기업의 로비스트’, ‘로비스트들의 대통령’ 등으로 지칭하는 등 맹공격을 퍼부었다. 야당들은 의회가 대통령을 직접 심문할 권한이 없는 만큼 하원에 관련 조사위원회를 설치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좌파 계열 노조단체인 ‘노동총연맹’(CGT)의 필리프 마르티네스 위원장은 “적어도 마크롱 대통령은 자신이 어떤 일을 했는지 직접 설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프랑스 대통령궁 대변인은 마크롱이 당시 경제부 장관으로서 “서비스 분야의 큰 변화와 관련된 많은 기업들”과 접촉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해명했다고 <아에프페>(AFP) 통신이 전했다.
신기섭 선임기자
marishi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