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차이잉원(맨 아래 왼쪽서 여섯째) 총통이 30일 펑후섬 군부대에서 군인들과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펑후/AFP 연합뉴스
대만군이 30일 대만 상공에 진입한 중국 무인기(드론)를 향해 실탄을 쐈다. 방어용 경고 사격이었지만 실탄을 사용했다는 점에서 양안 간 긴장 수위를 한층 더 높이게 될 것으로 보인다.
대만 국방부는 이날 저녁 누리집을 통해 “중국 무인기 1대가 30일 오후5시59분(현지시각) 얼단섬의 해상 통제 구역 상공에 진입하자 절차에 따라 경고를 했고, 계속 상공을 선회하자 방어 사격을 했다”며 “무인기는 오후 6시에 중국 샤먼 방향으로 날아갔다”고 밝혔다. 대만 국방부는 방어 사격이라고만 표현했지만, 실탄을 사용해 이뤄졌다.
대만 국방부는 이날 오후 4시23분에도 중국 무인기 3대가 다단섬, 얼단섬, 스위섬 등 진먼섬 주변 섬에서 발견됐고, 이때는 신호탄 사격을 하자 돌아갔다고 밝혔다.
대만군이 중국 무인기를 향해 실탄을 사용해 경고 사격을 한 것은 처음이다. 전날인 29일에는 신호탄 사격이 이뤄졌다. 특히 진먼섬은 대만 영토이긴 하지만 대만 본섬과 200㎞, 중국 푸젠성 샤먼과는 4㎞ 정도 떨어져 있어 군사적 긴장이 매우 높은 지역이다.
차이잉원 대만 총통은 앞서 이날 오후 대만 군부대들을 방문해 “적시에 강력한 조처를 해 중국공산당의 무인기를 제압하라”고 지시했다. 그는 “중국이 지속해 무인기 침입과 같은 ‘회색 영역’ 충돌 수법과 심리전을 결합해 대만에 대한 민간·군사 공격을 계속하고 있다”며 “우리는 휘말리지 않고 자제할 것이지만, 이것이 가만있겠다는 뜻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대만 국방부 자료를 보면, 중국은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이 2일 대만을 방문한 뒤 30일까지 총 23차례 무인기를 대만 상공에 보냈다. 지난 25일에는 중국 무인기가 대만 군인의 얼굴을 선명하게 찍은 영상이 중국 동영상 공유 누리집에 올라왔고, 대만에서는 왜 총으로 격추하지 않았느냐는 비판이 나왔다.
미국은 중국이 거듭된 군사도발을 통해 ‘뉴노멀’을 만들고 있다고 비판했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관은 29일 브리핑에서 “펠로시 의장의 대만 방문을 전후해 중국은 이 지역에서 뉴노멀(새 기준)을 세우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며 “공개적으로 언급했다시피 우리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최현준 특파원
haoju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