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기와 미국 국기를 합친 이미지 사진. 로이터 연합뉴스
미국이 러시아의 군사 부문을 지원했다는 이유로 중국 기업 40여곳을 무더기로 제재했다. 중국은 모든 필요한 조처를 취한 것이라고 반발했다.
로이터 통신 등 보도를 보면, 미국 상무부는 지난 6일 러시아 군과 방위 산업을 지원한 것으로 의심되는 중국 기업 42곳을 포함한 49개 외국 법인을 수출 통제 대상에 새롭게 올렸다. 미 상무부는 제재 대상 기업들이 러시아 방위 부문과 연계된 러시아 기업들에 미국 기술이 관여된 물품을 제공한 것으로 의심된다고 밝혔다. 또 일부 기업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민간 부문을 공격할 때 미사일이나 드론을 정확하게 유도하는데 사용하는 미국산 반도체 기술을 러시아 쪽에 공급했다고 지적했다.
중국 기업 외에 핀란드, 독일, 인도, 터키, 아랍에미리트(UAE), 영국 등 외국 기업 7곳도 제재 대상에 포함됐다. 앞서 상무부는 지난달에도 러시아에 드론 부품을 공급했다는 이유로 중국 기업 11곳을 수출통제 명단에 올린 바 있다.
이번 조처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지난달 13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러시아가 북한으로부터 무기를 지원받으려 하고 있어, 이에 대한 경고 차원에서 이뤄진 조처일 수 있다. 매튜 액설로드 미 상무부 수출 집행 담당 차관보는 “만약 러시아 국방 부문에 미국 고유 기술을 제공하면 우리는 그것을 찾아내 조처를 한다는 분명한 메시지를 보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기업을 중심으로 이뤄진 이번 제재는 내달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을 계기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만남을 논의하는 시점에 이뤄졌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번 조처는 지난해 11월에 이어 1년 만에 이뤄지는 미·중 두 정상의 만남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6일 시 주석과 만남 여부를 묻는 질문에 “그런 만남은 정해지지(set up) 않았지만,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다.
미국의 새 제재 조처에 중국은 단호히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7일 누리집을 통해 입장문을 내어 “이는 전형적인 경제적 강압이자 일방주의적 패권주의 행태”라며 “중국은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은 짧은 시간 안에 또다시 러시아와 관련한 이유를 들어 중국의 일부 기업을 수출 통제 리스트에 올렸다”며 “미국은 즉시 잘못된 처사를 바로잡고 중국 기업에 대한 비합리적 탄압을 중단해야 한다. 중국은 필요한 모든 조처를 해 중국 기업의 합법적 권익을 굳게 수호할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최현준 특파원
haoju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