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중 ‘외교지도 다시쓰기’ 분주
40년째 ‘불법점유 네 탓’
지난해 합의 구체화할 듯
국경선 확정엔 진통 예상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이 오는 11월 중순 베트남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아펙) 정상회의에 참석한 뒤 인도를 방문할 예정이라고 홍콩 일간 <명보>가 5일 보도했다. 후 주석은 이번 방문을 통해 반세기 가까이 끌어온 중-인 국경 분쟁을 해소하고, 인도와 전략적 동맹 관계를 확대할 것으로 전해졌다. 두 나라의 국경선 획정 협의는 지난해 4월 인도를 방문한 원자바오 중국 총리가 만모한 싱 인도 총리와 정치적 타결에 합의하면서 본격화했다.
양국이 국경선 획정에 합의하면, 두 나라 사이의 최대 ‘걸림돌’이 사라지게 된다. 중국은 최근 인도에 대한 전략적 접근을 강화해온 미국을 견제하기 위해 인도와의 국경 분쟁 해소에 적극적인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은 지난 5월 인도와 핵협정을 맺는 등 인도를 통한 중국 압박에 나서고 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인도를 놓고 미국과 중국이 거대한 ‘체스게임’을 벌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2000㎞에 걸쳐 국경을 마주한 중국과 인도는 1962년 국경 분쟁으로 전쟁을 벌인 이후 40여년 동안 국경선을 획정하기 위한 협의를 벌였으나 아직까지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당시 중국은 아루나찰프라데시주 셀라를 포함해 동부 국경지대 9만㎢를 인도가 강제로 점령하고 있다며, 즉각 반환을 요구했다. 반면, 인도는 악사이친을 비롯해 서부와 중부 국경지대 3만5000㎢를 중국이 불법으로 점유하고 있다고 맞섰다.
하지만 두 나라가 국경선을 최종 확정하기까지는 여러 해가 걸릴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인도는 셀라가 군사전략적 요충지인 타왕과 77㎞밖에 떨어지지 않았다며, 완강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명보>는 지적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두 나라가 현재 점유한 땅의 기득권을 서로 인정하는 선에서 국경선 획정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중국은 인도의 지역내 경쟁자인 파키스탄과도 전략적 관계를 강화하는 등 인도를 견제하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 중국은 최근 파키스탄에 기술을 제공해 원전을 건설하는 방안을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강문 기자 moon@hani.co.kr
유강문 기자 m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