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공대원이 28일 헬기에서 밧줄을 타고 유대인 시설인 나리만하우스 옥상으로 내려가고 있다. 무장세력들은 이 건물 안에서 유대교 랍비 가족을 인질로 잡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뭄바이/AP 연합
뭄바이 테러
인도 총리 “범인들 근거지는 외국…대가 치를 것”
미, ‘알카에다·탈레반 소탕작전’ 압박 강화할듯 ‘인도의 뉴욕’ 뭄바이에서 벌어진 ‘인도판 9·11’의 포성은 잦아들었지만, 사건의 강력한 여진은 서남아시아의 지정학적 구도를 뒤흔들고 있다. ‘대테러전쟁’의 전체 지형도에도 변화가 올 것으로 보인다. ■ 파키스탄으로 번지는 불씨 ‘9·11’ 이후 아프가니스탄에서 시작된 대테러전쟁은 ‘인도판 9·11’ 이후 빠르게 파키스탄을 향해 확대될 가능성이 커졌다. 만모한 싱 인도 총리는 27일 “범인들의 근거지가 외국에 있다”며 “이웃 나라는 그 영토가 이번 사건의 도약대로 이용됐다면 대가를 치러야 할 것”이라며 파키스탄을 겨냥한 강경 발언을 했다. 현지 일간 <힌두>는 인도 경찰에 붙잡힌 범인 중 최소 3명이 파키스탄과 연계된 이슬람 무장단체 라슈카르에타이바 대원들이며, 이들이 파키스탄 카라치에서 배를 타고 왔다고 보도했다. <타임스 오브 인디아>는 이번 테러의 치밀한 작전 등에 파키스탄 정보국(ISI)이 개입됐을 가능성까지 제기했다. 이번 사건으로 두 핵보유국인 인도와 파키스탄의 갈등은 다시 고조될 위험이 크다. 파키스탄-미국 관계가 ‘대테러전쟁’을 중심으로 얽혀 있는 가운데, 파키스탄은 인도와 대결할 병력을 줄여 국내 무장세력 소탕에 전념하기 위해 인도와의 관계 개선에 나서라는 미국의 압력을 받아 왔다. 파키스탄 무장세력이 이번 사건의 배후라면 양국간 갈등이 높아지겠지만, 한편으로 인도는 미국과 함께 파키스탄 정부에 더 적극적으로 이슬람 무장세력 소탕에 나서라고 압박하며 큰 양보를 요구할 수 있다. 최근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까지 받게 된 파키스탄은 미국-인도-아프간 3각 구도에 포위되는 상태다. 정보분석 전문기업 ‘스트래트포’는 27일 이번 사건에 대해 “인도와 미국은 파키스탄 정부를 압박할 공통의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다”면서도 “취약한 파키스탄 정부를 너무 강하게 압박하면 파키스탄은 혼란에 빠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수세에 몰린 파키스탄 정부는, 싱 인도 총리의 요청에 따라 사건 배후 추적을 위해 정보국장을 인도로 파견하는 데 동의했다고 인도 일간 <인도합동통신>(PTI)이 보도했다. 파키스탄 정보국장의 인도 방문은 유례가 없던 일이다. 인도 정부로서는 파키스탄 무장세력이 이번 사태에 개입됐다고 강조함으로써, 내년 총선을 앞둔 상태에서 정치적 위기도 넘길 수 있다. 현 정부는 힌두 우파정당으로부터 테러에 나약하다는 공격을 받고 있어, 자생적 국내조직이 범인이라면 이들이 등장할 토양을 제공했다는 정치적 공세에 시달리게 된다.
■ 미국의 새로운 대테러전 이번 사건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당선자의 새로운 안보전략과 화학작용을 일으키며, 대테러전의 전장을 아프간 국경 넘어 파키스탄 영토 안까지 확장시킬 징검다리가 될 수 있다. 오바마가 내놓은 안보 구상의 핵심은 현재 15만명 정도인 이라크 주둔 미군을 취임 16개월 안에 3만~5만명으로 줄이고, 아프간에는 최소 7000~1만5000명을 증파해 알카에다·탈레반 궤멸 작전에 집중하겠다는 것이다. 미군은 특히 아프간 동부에서 파키스탄 서부로 이어지는 부족통치 지역에 은신한 알카에다와 탈레반 세력을 효과적으로 소탕하기 위해 파키스탄 영토로 넘어가는 월경작전을 요구하고 있다. 파키스탄 정부는 ‘주권 침해’라며 강하게 반발해 왔다. 이번 사건으로 파키스탄은 이슬람세력과 군부의 모호한 관계에 대해서도 결단을 요구받게 될 것이다. 인도는 대테러전의 새로운 구도에서 좀더 비중 있는 구실을 맡게 될 가능성도 있다. 박민희 기자 minggu@hani.co.kr
미, ‘알카에다·탈레반 소탕작전’ 압박 강화할듯 ‘인도의 뉴욕’ 뭄바이에서 벌어진 ‘인도판 9·11’의 포성은 잦아들었지만, 사건의 강력한 여진은 서남아시아의 지정학적 구도를 뒤흔들고 있다. ‘대테러전쟁’의 전체 지형도에도 변화가 올 것으로 보인다. ■ 파키스탄으로 번지는 불씨 ‘9·11’ 이후 아프가니스탄에서 시작된 대테러전쟁은 ‘인도판 9·11’ 이후 빠르게 파키스탄을 향해 확대될 가능성이 커졌다. 만모한 싱 인도 총리는 27일 “범인들의 근거지가 외국에 있다”며 “이웃 나라는 그 영토가 이번 사건의 도약대로 이용됐다면 대가를 치러야 할 것”이라며 파키스탄을 겨냥한 강경 발언을 했다. 현지 일간 <힌두>는 인도 경찰에 붙잡힌 범인 중 최소 3명이 파키스탄과 연계된 이슬람 무장단체 라슈카르에타이바 대원들이며, 이들이 파키스탄 카라치에서 배를 타고 왔다고 보도했다. <타임스 오브 인디아>는 이번 테러의 치밀한 작전 등에 파키스탄 정보국(ISI)이 개입됐을 가능성까지 제기했다. 이번 사건으로 두 핵보유국인 인도와 파키스탄의 갈등은 다시 고조될 위험이 크다. 파키스탄-미국 관계가 ‘대테러전쟁’을 중심으로 얽혀 있는 가운데, 파키스탄은 인도와 대결할 병력을 줄여 국내 무장세력 소탕에 전념하기 위해 인도와의 관계 개선에 나서라는 미국의 압력을 받아 왔다. 파키스탄 무장세력이 이번 사건의 배후라면 양국간 갈등이 높아지겠지만, 한편으로 인도는 미국과 함께 파키스탄 정부에 더 적극적으로 이슬람 무장세력 소탕에 나서라고 압박하며 큰 양보를 요구할 수 있다. 최근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까지 받게 된 파키스탄은 미국-인도-아프간 3각 구도에 포위되는 상태다. 정보분석 전문기업 ‘스트래트포’는 27일 이번 사건에 대해 “인도와 미국은 파키스탄 정부를 압박할 공통의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다”면서도 “취약한 파키스탄 정부를 너무 강하게 압박하면 파키스탄은 혼란에 빠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수세에 몰린 파키스탄 정부는, 싱 인도 총리의 요청에 따라 사건 배후 추적을 위해 정보국장을 인도로 파견하는 데 동의했다고 인도 일간 <인도합동통신>(PTI)이 보도했다. 파키스탄 정보국장의 인도 방문은 유례가 없던 일이다. 인도 정부로서는 파키스탄 무장세력이 이번 사태에 개입됐다고 강조함으로써, 내년 총선을 앞둔 상태에서 정치적 위기도 넘길 수 있다. 현 정부는 힌두 우파정당으로부터 테러에 나약하다는 공격을 받고 있어, 자생적 국내조직이 범인이라면 이들이 등장할 토양을 제공했다는 정치적 공세에 시달리게 된다.
■ 미국의 새로운 대테러전 이번 사건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당선자의 새로운 안보전략과 화학작용을 일으키며, 대테러전의 전장을 아프간 국경 넘어 파키스탄 영토 안까지 확장시킬 징검다리가 될 수 있다. 오바마가 내놓은 안보 구상의 핵심은 현재 15만명 정도인 이라크 주둔 미군을 취임 16개월 안에 3만~5만명으로 줄이고, 아프간에는 최소 7000~1만5000명을 증파해 알카에다·탈레반 궤멸 작전에 집중하겠다는 것이다. 미군은 특히 아프간 동부에서 파키스탄 서부로 이어지는 부족통치 지역에 은신한 알카에다와 탈레반 세력을 효과적으로 소탕하기 위해 파키스탄 영토로 넘어가는 월경작전을 요구하고 있다. 파키스탄 정부는 ‘주권 침해’라며 강하게 반발해 왔다. 이번 사건으로 파키스탄은 이슬람세력과 군부의 모호한 관계에 대해서도 결단을 요구받게 될 것이다. 인도는 대테러전의 새로운 구도에서 좀더 비중 있는 구실을 맡게 될 가능성도 있다. 박민희 기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