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52
미-중간 긴장 고조
미국이 25일(현지시각) 중국이 선포한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에 B-52 전략 폭격기 2대를 사전통보 없이 훈련비행을 시키는 무력시위를 벌었다.
미국의 이런 무력시위는 중국의 방공식별구역 선포를 인정하지 않겠다는 단호한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이번 사태가 중-일, 한-일간 갈등을 넘어 G2(주요 2개국)의 동북아 패권 경쟁의 무대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미국 국방부는 이날 오후 7시 괌 앤드류공군기지를 출발한 폭격기 2대가 방공식별구역을 관통해 진입한 뒤 1시간가량 머물다 원대복귀했다고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국은 중국에 이번 비행에 대해 사전통보를 하지 않음으로써 중국이 설정한 규칙을 의도적으로 위반했다”고 국방부 관리들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국방부 고위관리는 이번 훈련 임무에 대해 “오랫동안 확립된 항공자유와 국제 영공 통과에 대한 국제적인 권리를 과시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리는 중국의 방공식별구역 선포에 대해 “도발적이고 대화에 걸림돌이며 해당 지역에서 오판의 위험성만 증가시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폭격기 2대는 핵무기 탑재가 가능하나 훈련이었기 때문에 비무장 상태였다. 23일 방공식별구역에 사전통보 없이 들어올 경우 군사조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던 중국 쪽은 아무런 대응이 없었다고 미 국방부는 밝혔다. 그러나 미국은 추가 비행훈련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혀, 중국과의 우발적인 충돌 가능성도 우려된다.
미국의 이번 훈련은 중국의 방공식별구역 선포 전에 계획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 국방부 내에서는 이 훈련을 취소할 경우 중국에 잘못된 신호를 줄 것이라고 판단해 훈련을 강행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조시 어니스트 미국 백악관 26일 정례브리핑에서 중국의 방공식별구역 선포는 “불필요하게 선동적”이고 “비생산적”이라고 밝혔다. 그는 “해당 지역은 영유권 분쟁 중이고 이런 분쟁은 외교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젠 사키 미 국무부 대변인은 “중국의 일방적인 행동은 동중국해를 둘러싼 현재 정세를 일방적으로 바꾸려는 시도로, 지역 긴장을 높이고 오판과 대치, 사고의 위험을 키울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