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6일 헬싱키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마치고 악수하고 있다. 헬싱키/스푸트니크 연합뉴스
16일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미-러 정상회담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실현하기 위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기울인 노력을 높게 평가한다고 말했다. 또 북한이 원하는 체제보장을 위해 러시아가 필요한 조처를 취할 준비가 돼 있다는 인식도 밝혔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정상회담 뒤 이어진 기자회견에서 “우린 한반도 이슈가 해결을 위해 움직였다는 사실을 기쁘게 생각한다. (이런 전진의) 상당히 많은 부분은 반목 대신 대화를 선택한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적인 관여에 의해 이뤄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회견 직후 이뤄진 미국 <폭스 뉴스>와 단독 인터뷰에서도 “우린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문제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나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 문제를 매듭짓는데 많은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하기 위해선 (북한이 희망하는) 국제적인 (체제 안전) 보장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러시아는 필요한 조처를 취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은 그러나 그가 말한 안전 보장을 위한 ‘필요한 조처’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언급하진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도 이날 북-미 협상에 대해 짧게 언급했다. 그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인류가 직면해 있는 가장 어려운 도전인 핵 확산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나는 지난달 (12일) 한반도 비핵화 문제를 다루기 위한 김 위원장과 내 만남에 대한 최신 정보를 제공했다. 오늘 푸틴 대통령과 러시아가 이 문제의 해결을 너무나 원하고 있다는 확신을 갖게 됐다. 그들(러시아)은 우리(미국)와 함께 노력할 것이다. 그 관여에 대해 감사한다”고 말했다.
두 정상 모두 기자회견에서 북핵 문제를 입에 담았지만, 은 언급에 그쳐 ‘심도 깊은’ 논의가 이뤄지진 않은 것으로 보인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달 초 중국을 방문하기 직전 중국 언론과 인터뷰에서도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자국 안보에 대한 완벽한 보장이 필요하다고 말하는 북한 지도부를 이해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러시아는 낙후된 극동 지역 개발을 위해 남북과 러시아가 참여하는 3각 경제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푸틴 대통령은 지난달 22일 러시아를 국빈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과 시베리아횡단철도(TSR)와 한반도종단철도(TKR) 연결 사업을 위한 공동연구와 기술·인력 교류에 합의하는 등 남-북-러 3각 경제협력을 진전시키기로 합의한 바 있다. 푸틴 대통령은 9월11~13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리는 동방경제포럼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초청한 상태지만, 북한은 아직 참석 여부를 밝히고 있지 않다.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