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의 상징과도 같은 금 채굴 현장이었던 브이(V)자 산봉우리 ‘도유노와레토’ 모습. 사도시 누리집 갈무리
조선인 강제동원이 대규모로 이뤄졌던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가 내년에 이뤄지기 어렵게 됐다. 일본 정부가 제출한 추천서에 미흡한 점이 있어 유네스코의 심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스에마쓰 신스케 문부과학상은 28일 기자단을 만나 “유네스코 사무국으로부터 (지난 2월1일 제출한) 추천서 일부에 충분하지 않은 점이 있다는 판단이 나왔다”며 내년 등재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추천서를 다시 제출할 수밖에 없다. 9월 말까지 잠정 추천서를 제출하고, 내년 2월1일까지 정식으로 내겠다”고 했다. 유네스코가 어떤 지점을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했는지는 설명하지 않았다. 추천서 제출이 1년 늦춰지면서 사도광산 등재 결정도 2024년 6~7월께로 미뤄지게 됐다.
스에마쓰 문부과학상은 이런 사실을 기시다 후미오 총리에게 보고했다. <엔에이치케이>(NHK) 방송은 “기시다 총리는 ‘정말 유감스럽지만 어쩔 수 없다’며 등재 실현을 위해 니가타현 등과 협력해 전력 대응하라고 지시했다”고 전했다.
앞서 <교도통신>은 유네스코가 사도광산의 범위를 나타내는 서류에 미비점이 있다며 추천서를 민간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이코모스)에 넘기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유네스코의 등록 과정을 보면, 추천서를 3월1일까지 이코모스에 보내고 4월부터 서류심사와 현지 조사를 진행했어야 한다.
한·일 정부는 각각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사도광산 유네스코 등재 문제에 대응하고 있다. 한국 외교부는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에 대해 “일본 정부가 한국인 강제노역의 아픈 역사를 외면한 채 ‘사도광산’을 세계유산으로 등재 추진하기로 결정한 데 대해 깊은 실망과 함께 항의의 뜻을 표한다”고 밝힌 상태다. 일본 정부는 1467년에서 1989년(폐광)이라는 사도광산의 전체 역사 중 에도시대(1603~1867년)로 평가 기간을 좁혀, 이 시기에 이뤄진 전통적인 수공업 방식의 금 생산 체제만 한정해 추진하겠다는 구상이다. 조선인 강제동원이 집중적으로 이뤄졌던 1939~1942년은 제외시켰다.
도쿄/김소연 특파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