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2년 넘게 미뤄둔 조선학교에 대한 고교 무상화 지원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또, 부실채권정리기구가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총련)의 본부 건물·토지에 대한 강제경매도 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북일국장급 회담 재개를 앞두고 북한을 배려하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요미우리신문>은 11일 “다나카 마키코 문부과학상이 조선학교 고교 무상화 실현에 의욕을 보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다나카 문부상은 지난 10월12일 일본 기자들과 만나, “(조선학교 무상화를) 서둘러 정치적 판단으로 결정해야 한다. 비판받을 것을 각오하지 않으면 결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고 이 신문은 덧붙였다. 고등학교 과정 조선학교는 일본에 10곳이 운영되고 있다. 일본은 2010년부터 고등학생의 학비를 정부가 학교에 지원하는 방식으로 고교 교육을 무상화했으나, 조선학교가 그 대상에 포함되는지에 대한 판단은 미뤄왔다.
<산케이신문>도 총련에 대해 627억엔의 채권을 가진 일본의 정리회수기구가 총련 본부 건물 및 토지에 대한 강제경매를 실시하지 않는 방향으로 조정중이라고 보도했다. 정리회수기구는 이미 경매를 신청한 상태지만, 총련은 지난 여름부터 41억엔을 갚겠다며 경매를 취소해달라고 요청해왔다. <산케이신문>은 현재 양쪽이 최종합의를 위해 막바지 협의를 벌이고 있다고 전했다.
도쿄/정남구 특파원 jej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겨울 탕거리 지존, 생태탕 아닌 ‘대구탕’ 된 사연은…
■ ‘4대강이 물난리 막았다?’ MB, 태국서 낯뜨거운 자화자찬
■ 11일만에 300만…‘늑대소년’ 흥행광풍 원동력은?
■ 우석훈, “안철수, 내 지도자 아니다”
■ 박원순 “기회 되면 재선 도전” 잇단 의사 표명
■ 성매매 피해자 3명중 1명 청소년기에 처음 경험
■ <강남스타일>에서 절간 스님까지 커피 열풍
■ 겨울 탕거리 지존, 생태탕 아닌 ‘대구탕’ 된 사연은…
■ ‘4대강이 물난리 막았다?’ MB, 태국서 낯뜨거운 자화자찬
■ 11일만에 300만…‘늑대소년’ 흥행광풍 원동력은?
■ 우석훈, “안철수, 내 지도자 아니다”
■ 박원순 “기회 되면 재선 도전” 잇단 의사 표명
■ 성매매 피해자 3명중 1명 청소년기에 처음 경험
■ <강남스타일>에서 절간 스님까지 커피 열풍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