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중국 직접 자극 안하면서
신사참배 고집도 꺾지않아
10월 추계예대제 참배여부 촉각
신사참배 고집도 꺾지않아
10월 추계예대제 참배여부 촉각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15일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하지 않는 대신 공물료를 봉납하기로 했다. 한국과 중국을 직접 자극하지 않으면서, 신사 참배에 대한 자신의 고집도 꺾지 않는 선택이다.
일본 <엔에이치케이>(NHK) 방송은 14일 “아베 총리가 종전기념일인 15일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하지 않는 대신 대리인을 통해 사비로 공물료를 바치기로 마음을 굳혔다”고 보도했다. 공물료를 낼 때는 일본 헌법이 정하고 있는 정교분리 원칙을 고려해 ‘일본 총리’가 아닌 ‘자민당 총재’라는 직함을 쓰기로 했다. 아베 총리는 그동안 야스쿠니신사 참배 여부를 묻는 질문에 “간다, 안 간다를 언급하는 것 자체가 외교 문제가 될 수 있다”며 직답을 피해왔다. 아베 총리는 지난 4월 춘계예대제(봄 제사일) 때도 신사를 직접 참배하는 대신 화분으로 공납물을 보낸 바 있다.
아베 총리가 참배를 강행하지 않게 된 배경에는 미국의 압력이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산케이신문>은 이날 미-일 관계 소식통의 말을 따서 웬디 셔먼 미 국무차관이 이달 초순 미 국무성에서 스기야마 신스케 일본 외무 심의관을 만나 야스쿠니신사 참배에 대한 아베 내각의 대응에 대해 설명을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미국 정부가 집권 이후 일본의 침략을 사실상 부정하는 발언 등으로 주변국을 자극해 온 아베 총리에게 ‘무언의 압력’을 행사한 셈이다. 이 자리에서 스기아먀 심의관은 “개인의 참배는 신앙의 자유에 관한 문제이기 때문에 정부가 개입할 일이 아니다”라는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신문은 또 아베 총리가 총리 취임 직후인 지난해 12월27일 야스쿠니신사 참배를 전격적으로 결행할 계획이었지만, 마지막 단계에서 취소했다고 보도했다.
아베 총리가 종전기념일 참배를 뒤로 미뤄 10월 추계예대제 참배 여부에 관심이 모아진다. <산케이신문>은 총리 주변 관계자의 말을 따서 “총리가 재임 중에 참배를 한다는 의지가 굳다. 원래 외교 문제로 발전하기 쉬운 8월15일 참배보다 춘계나 추계예대제 참배를 고려하고 있었다”고 보도했다.
한편 아베 내각의 각료 18명 가운데 현재까지 다무라 노리히사 후생노동상, 후루야 게이지 공안위원장 겸 납치문제 담당상, 이나다 도모미 행정개혁상, 신도 요시타카 총무상 등 4명이 참배 의사를 내비쳤고, 시모무라 하쿠분 문부상과 네모토 타쿠미 부흥상은 이미 참배를 마친 사실이 확인됐다. 15일 당일 보수 성향의 자민당 의원들이 대거 참배에 나서리라 전망된다.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담뱃재 털고 침 뱉은 물 맞으며 촬영했다”
■ 전두환 비자금으로 조성한 50억 차명재산 첫 확인
■ 일본인들은 왜 욱일기를 휘날리나
■ [화보] 인간 한계에 도전하는 명승부 명장면들
■ [화보] 그시절 찜통더위 날려버린 해수욕장 풍경들
■ “담뱃재 털고 침 뱉은 물 맞으며 촬영했다”
■ 전두환 비자금으로 조성한 50억 차명재산 첫 확인
■ 일본인들은 왜 욱일기를 휘날리나
■ [화보] 인간 한계에 도전하는 명승부 명장면들
■ [화보] 그시절 찜통더위 날려버린 해수욕장 풍경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