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뒤 숨진 북녘 일인 수만명
북 작년부터 일 유족 방북 허용
전문가들 5일까지 현지조사 나서
북 작년부터 일 유족 방북 허용
전문가들 5일까지 현지조사 나서
지난 6월 일본인 이마무라 사토루(79)는 붉게 충혈된 눈으로 낯선 타국의 야산에 올라 정성스레 술을 부었다. 이곳은 그의 부친인 이마무라 미쓰오가 소련군 수용소의 엄혹한 생활을 견디지 못해 숨진 뒤 매장됐으리라고 추정되는 터다. 이마무라의 부친은 일본군의 병사로 한반도에 처음 발을 디뎠고, 제대 뒤 자전거 점포를 운영하며 정착한 일본인이었다. 이렇게 1945년 해방 무렵 북한 지역에 정착해 살던 일본인은 30만명 정도로 추산된다.
그러나 해방 이후 시작된 남북 분단은 조선인뿐 아니라 일본인 정착민의 운명도 갈랐다. 미군 당국이 해방 직후인 1945년 10월부터 38선 남쪽 지역의 일본인들을 귀국시킨 것과 달리, 소련은 이들을 1년 반 동안 집단수용소에 격리해 학대했기 때문이다. 이런 사정 탓에 3만5000명이나 되는 일본인들이 38선 북쪽 지역에서 병과 굶주림을 견디지 못하고 숨진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 <엔에이치케이>(NHK) 방송은 28일 “종전 뒤 혼란 속에서 조선(북) 지역에서 숨진 일본인 유골에 대한 전문가들의 현지조사가 시작됐다”고 보도했다. 미즈노 나오키 교토대학 교수 등 4명으로 이뤄진 조사단은 다음달 5일까지 청진 등에 머물며 일본인 유골의 매장 상태 등을 상세히 조사할 예정이다. 그동안 일본의 연구자들은 당시 생존자들이 남긴 수기, 북한 지역에 있던 일본인 학교의 동창회보 등에 담긴 정보를 토대로 일본인 유골의 매장 지역을 추정해 왔다.
북한은 그동안 북한 지역에 남겨진 가족의 묘지를 방문하거나 유골을 발굴하러 방북하고 싶다는 일본인들의 요청을 거부해왔다. 그러나 지난해 8월부터는 전향적인 자세로 태도를 바꿔 지금까지 다섯 차례나 유족의 방문을 받아들였다.
앞서 북한은 한국전쟁 때 숨진 미군 유해 발굴 카드를 미국과의 관계 개선에 활용해왔다. 미군 유해 발굴 작업은 2006년 10월 북한의 1차 핵실험 이후 중단됐다가 2011년 10월 타이 방콕에서 열린 북-미 군사협의에서 재개에 합의했다. 그러나 지난 2월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다시 중단된 상태다.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