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도가 사들였으면 될걸” “등대 세워 중국반응 보자”
분쟁 불붙인 장본인, 자극적 선동
분쟁 불붙인 장본인, 자극적 선동
“그냥 도쿄도가 샀으면 됐을 걸 괜히 국가가 나서서 문제가 커졌다.”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둘러싼 중일 영토분쟁이라는 거대한 화약고에 불을 붙인 장본인인 이시하라 신타로 전 도쿄도지사(현 일본유신회 공동대표)가 일본 정부의 센카쿠 국유화 조처 1년 만에 입을 열었다. 그는 11일 <아사히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중국인들이 폭동을 일으켜 일본을 비난하고 있는 것은 정부가 국유화를 해 ‘국가 대 국가’의 문제가 됐기 때문”이라며 “(도쿄도와 같은) 지방자치단체가 매입하는 쪽이 나았다”고 궤변을 늘어놨다.
센카쿠열도 영유권 문제에 대해선, 1978년 중국과 일본이 평화우호조약을 맺을 때 현 상태를 악화시키지 말고 이후 세대를 위해 보류하자는 양국간의 암묵적인 약속이 맺어져 있었다. 그러나 이시하라 도지사가 지난해 4월 매입 방침을 밝힌 뒤, 당시 민주당의 노다 요시히코 정권이 국유화 조처에 나서면서 중국의 맹렬한 반발을 불렀다. 이시하라 지사의 주장은 자신이 처음 주장한대로 도쿄도가 센카쿠열도를 매입했으면 중일관계가 이렇게 악화되진 않았을 것이란 주장인 셈이다. 그는 “꺼림칙한 것은 조용히 다른 사람에게 맡기면 된다. 나였으면 그렇게 했다”며 당시 일본 정부의 대응을 에둘러 비판했다.
그는 악화된 중일관계에 대해선 “그것은 중국의 책임이다. 그러나 (양국 관계가 나빠진 것은) 좋지 않은 일이다. 정부가 책임을 지고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일관계가 지금처럼 악화된데 대한 반성의 기미는 전혀 찾을 수 없었다.
그는 또 현재 자민당의 아베 신조 정권에 대해선 “상대(중국)를 시험하기 위해 (바둑처럼) 먼저 돌을 던져 볼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국면이 바뀌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이를 위한 구체적인 제안으로 “(센카쿠열도 일대는) 폭풍도 많은 곳인 만큼 영세한 어민들을 위해 배를 정박할 수 있는 부두나 만국의 이익을 위해 등대를 만들어 보자. 그러면 중국이 어떻게 반응할지 세계가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한 중국 정부의 반발을 우려하는 질문에 대해선 “연료를 포함해 자원이나 자재를 운반하기 위한 해상운송 능력이 중국에는 없다. 그런 것들을 생각하면 (중국이) 센카쿠를 위해 바보 같은 전쟁을 할리가 없다”고 주장했다.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