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다 하루키(75) 도쿄대 명예교수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
20일 ‘한겨레-부산 국제심포지엄’서
역사갈등 풀 정상회담 필요성 발표
“직접 만나 위안부 문제해결 꺼내면
아베 총리도 거부하기 쉽지 않을 것…
사과편지와 국가 직접보상책 내놔야”
20일 ‘한겨레-부산 국제심포지엄’서
역사갈등 풀 정상회담 필요성 발표
“직접 만나 위안부 문제해결 꺼내면
아베 총리도 거부하기 쉽지 않을 것…
사과편지와 국가 직접보상책 내놔야”
“박근혜 대통령이 아베 신조 총리와 만나서 위안부 문제 등의 해결을 촉구해야 합니다.”
일본의 대표적인 지한파 지식인인 와다 하루키(75·사진) 도쿄대학 명예교수가 앞뒤로 꽉 막힌 현재의 동북아 정세를 풀려면 박근혜 대통령이 아베 신조 일본 총리를 만나 정상회담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와다 교수는 20일부터 1박2일 일정으로 부산에서 열리는 제9회 한겨레-부산 국제심포지엄과 관련해 미리 제출한 기조연설문 ‘동북아시아 지역의 위기-우려와 희망’에서 이런 견해를 밝혔다.
와다 교수는 심포지엄 참석에 앞선 15일 도쿄에서 <한겨레> 기자와 만나 이런 주장의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현재 박 대통령이 다른 외국 정상들과 만나 과거사 문제와 관련해 일본을 비난하고 있지만, 일본 국내에선 ‘할 말이 있으면 직접 만나서 해야 한다’는 여론이 강한 편”이라며 “진정 역사 문제를 해결하고 싶으면 서로 얼굴을 보고 직접 대화를 하는 편이 좋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여성인 박 대통령이 양국 정상회담에서 위안부 동원 과정의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 담화’ 및 일본의 침략과 식민지배를 반성한 ‘무라야마 담화’를 계승하겠다는 아베 총리의 의지를 확인한 뒤,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노력을 요구하면 아베 총리가 이를 거부하기 힘들다”며 “이를 근거로 1995년 (일본 정부 주도로) 만들어진 (민간 기금인) 아시아여성기금 때보다 한발 더 진전된 대책을 요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와다 교수는 이 과정에서 “같은 여성인 캐럴라인 케네디 주일 미국대사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조연설문에서 와다 교수는 현재 동북아 지역의 ‘위기 요인’으로 북핵과 미사일 등을 중심으로 한 북한 문제, 고노 담화 등 역사 담화를 부정하려는 일본의 역사 수정주의를 뜻하는 일본 문제, 중국의 부상으로 발생하는 주변국들과 갈등을 뜻하는 중국 문제, 독도·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등 영토 문제, 오키나와 미군기지 확장을 둘러싼 오키나와 문제 등을 꼽았다.
와다 교수는 “이들은 모두 해결책을 찾기가 쉽지 않은 어려운 문제들이지만 우리가 총력을 집중한다면 위기 타파를 위한 돌파구를 찾을 수도 있을 것으로 본다”며 “이 경우 돌파구는 위안부 문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 경우 일본 정부는 아시아여성기금 때보다 더 진전된 내용을 담은 총리의 사과 편지와 국가의 직접 보상 등의 대책을 내놔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와다 교수는 9월18~24일 일조국교촉진국민협회(회장 무라야마 도미이치 전 총리) 방문단의 일원으로 평양을 방문한 소식도 전했다. 그는 “평양의 새로운 분위기는 황색과 녹색선이 그려진 택시들이 시내를 오가는 모습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며 “지난 7월 한국전쟁 정전 60돌을 맞아 리위안차오 중국 부주석이 방문한 중국인민지원군 사령부도 돌아봤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방문에서 이곳에 1958년까지 펑더화이를 사령관으로 한 중조연합군사령부도 있었다는 사실을 전해 들었다고 말했다. 와다 교수는 “북한은 그동안 자신들이 중심이 돼 전쟁을 수행했고 중국은 이를 지원했을 뿐이라는 견해였지만, 이런 언급은 사실상 전쟁 후반기엔 중국이 중심이 돼 전쟁을 수행했으며 그 영향력이 1958년까지 유지됐다는 사실을 인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는 북한이 한국전쟁을 객관적으로 보기 시작한 증거로 해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올해로 9회째인 한겨레-부산 국제심포지엄은 ‘미-중 신형 대국관계와 동북아 평화’를 주제로 부산 누리마루 아펙(APEC) 하우스에서 개최된다.
도쿄/글·사진 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