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언론 반응
일본 언론들은 3·1절 기념사에 담긴 박근혜 대통령의 주장이 현재 일본 정부의 입장과 너무 달라 당분간 한-일 관계 개선이 어려울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아사히신문>은 2일 박 대통령이 “과오를 인정하지 못하는 지도자는 새로운 미래를 열어갈 수 없다”는 발언으로 아베 신조 정권을 향해 위안부, 역사 문제에 대한 대응을 다시 한번 요구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이 일본을 향해 “자극적인 표현은 피했다”며, 일본과의 관계 개선을 요구하는 미국과 국제사회의 눈을 의식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보수 진영의 <요미우리신문>은 ‘박 대통령이 어디까지 반일을 지속할 것인가’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강한 불만을 쏟아냈다. 신문은 “개인청구권을 포함해 법적인 책임은 (1965년 체결된) 국교정상화 시기에 해결됐고, 그후 일본은 1995년 아시아여성기금을 만들어 위로금 등을 지급했다”고 주장하며 “이런 경위를 경시하고 일본에 책임을 미루는 박 대통령의 주장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도 “한국이 일본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위안부 문제 해결을 조건으로 내걸고 있지만 일본 정부는 ‘법적인 문제는 종료됐다. 양보는 힘들다’는 입장어서 한-일 양국의 의견 격차는 좁혀지기 힘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한국은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일본이 국가의 법적 책임을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일본은 오히려 위안부 동원과정에서 군의 직접 개입을 인정한 고노 담화(1993년)를 검증하겠다고 나서는 등 퇴행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