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자극야기다능성획득(STAP) 세포’ 개발을 주도한 일본 이화학연구소의 노요리 료지(오른쪽 둘째) 이사장 등이 14일 도쿄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 논문을 둘러싼 데이터 조작 논란 등과 관련한 중간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도쿄/교도 연합뉴스
일 이화학연구소 조사결과 발표
“DNA 화상 조작·자료사진 도용”
사실상 철회 권고
“DNA 화상 조작·자료사진 도용”
사실상 철회 권고
생물학의 상식을 뒤엎는 대발견으로 여겨진 오보카타 하루코 일본 이화학연구소 연구주임의 줄기세포 제작 관련 논문에 사실상 ‘사형선고’가 내려졌다.
일본 이화학연구소는 14일 도쿄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오보카타 하루코 발생·재생과학 종합연구센터 연구주임의 지난 1월 <네이처> 논문 중간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소는 논문과 관련해 지금까지 제기된 6가지 의문점을 열거하며 “논문의 데이터가 일부 조작됐고, 사진 등 일부 자료도 오보카타 연구주임의 박사 논문에서 사용된 것과 같다”고 판단했다. 논문 철회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았지만, 핵심 자료를 다른 논문에서 유용했음을 인정해 사실상 논문에 사형선고를 내린 것으로 해석된다.
문제의 논문은 쥐의 림프구(임파구)에서 추출한 체세포를 약산성 용액에 담가 약한 자극을 준 뒤 배양해 쥐의 어느 기관으로도 발전할 수 있는 만능세포를 제작할 수 있다는 게 핵심 결론이다. 이 만능세포에 ‘자극야기다능성획득(STAP) 세포’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다.
논문의 결론이 받아들여지려면 배양한 만능세포가 정말 쥐의 것인지, 그렇게 만들어진 세포가 만능성을 갖고 있는지 따위를 증명해야 한다. 그런데 <엔에이치케이>(NHK) 등의 보도를 보면, 만능세포가 쥐의 체세포에서 나온 것임을 입증하는 디엔에이(DNA) 화상의 일부가 잘라 붙여진 뒤 위아래의 길이를 바꾸는 등의 조작이 이뤄졌고, 세포의 만능성을 보여주는 증거 사진도 3년 전 오보카타 연구주임의 와세다대 박사 논문에서 사용된 것과 같다고 연구소가 밝혔다. 그러나 이것이 고의 조작에 따른 것인지는 아직 판단하지 않았다.
연구소는 “연구 부정이 있었는지 추가 조사를 벌여 결과가 나오면 바로 알리겠다”고 밝혔다. 노요리 료지 연구소 이사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논문의 제작 과정에서 중대한 실수가 있다는 점에 진심으로 유감이다. 조사를 진행해 부정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엄중히 처분하겠다”고 말했다.
오보카타 연구주임의 직속상관인 다케이치 마사토시 발생·재생과학 종합연구센터장은 “논문을 신속하게 철회하고 연구를 다시 시작하는 게 중요하다고 판단해 논문 저자들에게 철회를 권했다”고 밝혔다. 오보카타 연구주임 등 주요 연구자 3명은 서면으로 “논문과 관련해 나온 지적을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사죄한다. 논문 취소 문제를 연구소 밖의 공저자들과 연락해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