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일 반응 온도차
일 “납치 문제·안보 모두 다룰 기회”
일 “납치 문제·안보 모두 다룰 기회”
북한이 26일 새벽 동해를 향해 노동 미사일로 추정되는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유엔(UN)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이라며 미국과 일본 정부가 강하게 항의했다. 그러나 북한의 미사일 발사 때마다 민감하게 반응해온 일본은 이번에는 비교적 냉정한 태도를 유지하며 30일로 예정된 북-일 국장급 회담을 예정대로 진행하겠다는 뜻을 밝혀 주목된다.
마리 하프 미국 국무부 부대변인은 25일(현지시각) 성명에서 “북한의 이번 미사일 발사 행위는 유엔 안보리 결의 1718·1874·2094호의 명백한 위반”이라고 밝혔다. 그는 “1718·1874호는 북한이 탄도미사일 프로그램과 관련한 모든 활동을 중단하고 미사일 발사를 유예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 1874·2094호는 북한이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어떤 발사도 금지하도록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하프 부대변인은 이어 “우리는 이번 도발 행위에 대해 적절한 조처를 취하고, 북한의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에 의한 국제안보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유엔 안보리를 포함해 동맹 및 파트너들과 긴밀히 공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이 ‘안보리와 공조’를 언급한 것으로 볼 때 조만간 이 사안을 안보리에 회부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도 26일 정례 기자회견에서 “(이번 행위는) 북-일 평양선언과 안보리 결의를 위반한 것으로 북한에 엄중히 항의했다. 북한에 자제를 요구하는 한편 한·미 양국과 긴밀히 연대해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30일로 예정된 북한과의 국장급 회담은 중단하지 않고 최대한 활용하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했다. 그는 이번 회담은 “납치 문제라는 인도적으로 매우 중요한 문제뿐 아니라 핵과 미사일이라는 안보상의 우려 사항도 다룰 수 있는 기회다. (이런 점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지금 시점에서는 (협의) 중지를 생각하지 않는다. 일본의 입장을 확실히 주장할 기회로 삼겠다”고 말했다.
북한은 1993년 5월 노동 미사일을 일본 쪽으로 처음 발사했고, 1998년 8월엔 대포동 1호를 일본 상공 위로 통과시켰다. 이를 계기로 일본은 미국이 주도하는 미사일방어(MD)에 공식 참여했다. 그런 일본이 북한과의 대화 유지를 택한 것은 어렵게 잡은 납치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놓치지 않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도쿄 워싱턴/길윤형 박현 특파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